전기기사·기능사
Q. 전기 충격(감전)의 위험성과 예방 대책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감전의 주요원인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노후화, 충격 및 화학반응 등으로 도전부 노출, 정전기 축적, 고온과 습도 등의 환경적요인, 유지보수부실, 접지결함, 누전차단기를 미설치 및 오작동 시 감전이 발생하게 됩니다.또한, 작업자가 전기차단을 하지 않고 작업하거나 작업모,절연장갑, 안전화, 절연공구 등 안전장비 미착용으로 인해 부주의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따라서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대책은 습기나 오염을 대응할 수 있도록 절연 수준을 확보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이상시 즉시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합니다. 또한, 작업 시 안전작업 절차를 숙지할 수 있도록 안전교육이 실시하고 절연장갑, 작업모, 안전화 등 개인 보호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습관화와 관리감독이 필요합니다. 현장의 경우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접지매트 및 정전기 방지 스트랩 등을 활용하면 정전기를 방지하여 감전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전기는 산업, 개인, 공공 등 다양한 곳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자의 안전수칙 준수와 교육이 꼭 필요합니다.
Q. 쇄빙선을 제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최초 쇄빙선은 한진중공업에서 건조한 아라온호 입니다.얼음을 깨며 나가야 하는 쇄빙선의 3대요건은 강력한 엔진, 튼튼한 선체, 얼음이 달라붙지 않는 표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쇄빙선은 빙판위에 올라타 얼음을 쪼개거나 부수기 위해서는 배의 중량을 이용해 쐐기(돌기부분)로 깨뜨리며 나갈 수 있도록 튼튼한 구조로 선체를 설계하게 만들게 됩니다.쇄빙선의 쇄빙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하고, 선실은 선수부에 배치되며, 선수부 아래는 선박이 얼음판 위로 완전히 올라설 수 없도록 아이스나이프가 설치됩니다.또한, 깨진 얼음조각이 프로펠러에 끼지 않도록 2~3축의 배열로 원통형의 덕트안에 넣어 선미는 넓지 않으며, 얼음이 겹쳐쌓인 빙맥에서는 후진, 전진충돌, 후진을 반복하는 충격쇄빙방법을 사용하여 전후좌우 이동이 자유롭게 합니다. 그래서 강력한 엔진은 필수이며, 강력한 엔진과 외부선체는 두꺼운 철판으로 튼튼하고 표면에는 얼음이 달라붙지 않아야 합니다또한, 충격감지 장치가 있어 얼음과 충돌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습니다.이렇게 쇄빙선은 얼어있는 북극과 남극의 해역에서도 항해할 수 있도록 제조된 특수한 선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