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 기능사 시험을 볼때 실기는 어떻게 보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전기기능사 실기시험은 큐넷에 전기기능사 공개문제(문제1~문제18번까지)가 있어요.공개문제 1~18번 중 어떤 것이 시험문제로 출제될지 모르니 1~18번 도면을 보고 전기 설비의 배선 및 배관공사 작업을 연습해서 실수없이 시험보면 되요.아래의 내용은 참고하세요.전기기능사 실기시험 접수비는 106,200원으로 작업형이라 수수료가 비싸요.실기시험 접수비에는 시험볼때 사용하는 기본재료가 포함되어 있어 공급해줘요.전기 설비의 배선 및 배관공사에 필요한 재료 : 전선(갈색, 흑색, 회색, 황색), 전자접촉기, 타이머, 릴레이, 푸시버튼 스위치 및 램프 색상별, 단자대, 전선관, 케이블, 새들, 나사 등 제공이 돼요.작업에 필요한 개인 지참 공구 : 와이어 스트리퍼, +드라이버, 50cm 자, 종이테이프, 회로시험기(벨테스터), 필기구(색깔별 볼펜, 네임펜, 형광펜), 파이프커터, 충전용 드릴(10v이상), 스프링벤더, 코팅된 장갑, 복장 등 준비를 하셔요.
Q. 환경 에너지를 위해서 자전거 타기가 도움이 많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자전거는 환경에 영향이 없는 무공해 운송수단으로 일상생활에 사용하면 너무 좋죠.자동차의 경우 화석연료로 인한 배기가스 배출로 대기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탄소를 배출하고 있어요.이로 인해 폭염, 폭우, 폭설, 한파, 태풍, 산불, 지진, 빙하녹음 등 이상기후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전세계가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요.따라서 매연을 내품는 자동차보다 자전거를 타게 되면 환경은 물론이고 건강까지 챙길 수 있어요.
Q. 겨울철 난방비 절약법으로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여름철 전기요금 만큼 겨울철도 난방비 사용이 늘어나지요.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평소 습관과 관리가 중요해요.*보일러 실내온도는 18~20도 설정, 온수 온도는 55~60도 설정.*보일러 외출모드 사용하거나 보일러 온도를 5도 정도 낮추어 설정(보일러마다 기능이 다를 수 있어요)*난방 실내 적정온도를 18~20도 유지.(두툼한 옷 입고 있기), 습도 40~60% 유지.*단열 및 누설방지를 위해 보온재료 사용. 실내의 열이 누설되는 것을 막기위해 창문과 문틀 등에 단열시트, 온풍지, 뽁뽁이 등 부착 및 커튼이나 블라인드 설치. *바닥 열손실을 막기위해 카펫이나 매트 깔기.*난방텐트 사용.*보일러 교체시 전력소비 1등급.*건조한 겨울철 가습기나 제습기 적절히 사용.다양한 난방비 절약으로 겨울을 보내세요.
Q. 일본은 우리와 다르게 왜 110V를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일본은 일찍부터 110V를 사용하는 전제제품들과 많은 설비들이 빠른 속도로 퍼져 나갔어요. 세월이 흐르며 220V가 탄생했지만 일본은 수없이 많은 건물들이 110V 규격으로 콘센트가 설치되어있고, 시중에 판매되는 모든 전자제품들도 110V 동일한 전압을 사용하고 있어요.일본은 모든것이 너무 오랜세월동안 110V를 사용하다보니 220V로 바꾸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금액 지출과 세월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지금와서 바꾸기엔 인구도 많고, 많은 시간, 많은비용이 예상되기 때문에 현재도 여전히 110V 전압을 사용하고 있어요.참고로 우리나라도 옛날에 110V를 사용하다가 1973년부터 220V로 전압을 바꾸기 시작한지 2005년 32년만에 승압 사업의 공식적인 종료를 선언하고 마무리 되었어요.막대한 기긴과 비용을 들여 220V로 표준화가 가능했던 이유는 인구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