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본은 우리와 다르게 왜 110V를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일본은 일찍부터 110V를 사용하는 전제제품들과 많은 설비들이 빠른 속도로 퍼져 나갔어요. 세월이 흐르며 220V가 탄생했지만 일본은 수없이 많은 건물들이 110V 규격으로 콘센트가 설치되어있고, 시중에 판매되는 모든 전자제품들도 110V 동일한 전압을 사용하고 있어요.일본은 모든것이 너무 오랜세월동안 110V를 사용하다보니 220V로 바꾸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금액 지출과 세월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지금와서 바꾸기엔 인구도 많고, 많은 시간, 많은비용이 예상되기 때문에 현재도 여전히 110V 전압을 사용하고 있어요.참고로 우리나라도 옛날에 110V를 사용하다가 1973년부터 220V로 전압을 바꾸기 시작한지 2005년 32년만에 승압 사업의 공식적인 종료를 선언하고 마무리 되었어요.막대한 기긴과 비용을 들여 220V로 표준화가 가능했던 이유는 인구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요.
사회복지사 자격증
Q.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과 취업에 있어서 나이가 중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사회복지사는 나이대 별로 근무하는 분야가 조금씩 달라요.경험상 사회복지사로써 취업시 나이가 중요한거 같아요.젊은 층을 선호하는 복지관(노인복지관, 청소년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등)이나 협회, 요양병원 등.40~50대 선호하는 기관은 주간보호센터, 재가복지센터, 요양병원, 요양원 등.사실 50대 중반이 넘어가면 사회복지기관에서 채용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아요.(나이있는 사회복지사 고려대상) 하지만 대부분 직접 사회복지사업을 하려고 도전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목적이 있으니 나이는 중요하지 않는거 같아요.
Q.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220 볼트를 사용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우리나라는 예전에 110V를 사용하였으나 1960년대 말부터 준비기간을 거쳐 1973년 '승압 15개년 플랜'을 본격시행하여 2005년까지 변환 작업으로 승압사업에 성공해 현재는 220V를 사용하고 있어요.따라서 한국전력은 2005년이 돼서야 승압 사업의 공식적인 종료를 선언하였으며, 1973년 개시를 선언한 지 32년이 지난 후 한국의 표준 전기 플러그는 220V ‘C형 플러그’로 통일되었어요. 한 번 구축한 전력망을 승압하는 건 국가적으로 아주 큰 프로젝트라고 해요.우리나라가 110V에서 220V로 바뀌게 된 이유는 발전소에서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할때 송전선이 저항으로 인한 전력손실을 줄이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일정할때 전압을 두배로 늘리면 전류도 2배로 증가함으로 전력은 4배로 증가하게 되어 좋다고 해요.즉, 송전선과 가전제품의 저항비가 기존에 비해 가전 제품쪽이 커지는데 저항이 직렬 연결일때는 전력의 비가 저항에 비례하여 송전선에서 소비되는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어요. 따라서 송전 중 손실 효율이 220V가 110V에 비해 4배 좋으며, 감전의 위험성은 110V보다 220V가 더 크지만 기술의 발달 가능했어요.
Q. 전기 기능사를 취득한 것만으로 취업하기는 힘들죠?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전기자격증은 전기기능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기사 -> 전기기능장 -> 전기기술사로 구분되고 있어요.이중 최하위 자격증은 전기기능사로 누구나 취득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어요.전기기능사 자격증을 필요한 분야에서는 전기기사보다 전기기능사를 선호하고 있어요.전기기능사 자격증을 필요로 하는 곳이 생각보다 많아 취업 걱정은 안해도 되죠.발전소, 변전소, 조명공사업체,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수리업체, 전기설계, 전기공사, 시설 및 설비운영, 제조업, 서비스, 전기생산업체, 부품제조업체, 제철소, 자동차, 전기전가, 방위산업체, 조선, 일반업첸나 공장 그리고 고졸 채용 시 대기업과 중견기업 등 있으며, 전기직 공무원 취업도 가능해요.또한, 전기기사 시험 자격조건이 안됀다면 전기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을 쌓아 전기기사 상위 자격증으로 취득해 보는것도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