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임현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임현상 전문가입니다.
임현상 전문가
정윤세무회계컨설팅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세금·세무
자격증
종합소득세
2021년 3월 18일 작성 됨
Q.
2021년 변경된 공시지가 관련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임현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재산액이 9억초과인 경우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이 상실되는것이 맞습니다.공시지가 11.5억이면 재산세+지방교육세+도시지역세+종합부동산세+농어촌특별세 합쳐 총액 454만원 정도 예상됩니다.재산세만 350만원정도 예상되고 이로인한 종부세 금액으 100만원정도로 보시면 될것입니다.
법인세
2021년 3월 18일 작성 됨
Q.
개인사업자가 법인전환시 어떻게?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임현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개인사업자의 법인전환은 여러가지이유로 진행합니다.질문자님께서 남겨주신 내용만으로는 법인전환의 필요성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물론 세금자체는 법인이 개인보다 싸지만 가지급금이슈등 개인에비해서 제약되는 부분이 많고 법인에서 돈을 인출할때 또다시 근로소득세등으로 과세되므로 절대적으로 법인이 개인보다 유리한것은 아닙니다.법인전환비용은 통상 100~300만원선으로 알고있습니다만 용역사이즈에따라 금액은 다릅니다.감사합니다^^
종합소득세
2021년 3월 18일 작성 됨
Q.
세금에 있어서 프리랜서가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임현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세금측면에서나 국민연금, 건강보험측면에서나 근로자로 신고되는것이 프리랜서보다 근로자 입장엣 유리합니다.물론 개인도 연말정산이 있고 매출이 적은 프리랜서도 단순경비율로 종소세확정신고를 하면 세금환급이 크지만 연봉이 올라갈수록 근로자로 신고하는 것이 프리보다 세금공제가 더 큽니다.무엇보다 프리랜서는 직장가입자로4대보험 가입이 불가능하여 지역가입자로서 본인이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을 모두 납부해야합니다.근로자는 직장보험료의 절반을 회사가 납부해야 하므로 회사 입장에서 보험료납부액이 많습니다.따라서 가급적이면 근로자로 계약하시기를 바랍니다.
증여세
2021년 3월 18일 작성 됨
Q.
아이 증여관련 세법이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임현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제53조【증여재산 공제】거주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금액을 증여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한다. 이 경우 수증자를 기준으로 그 증여를 받기 전 10년 이내에 공제받은 금액과 해당 증여가액에서 공제받을 금액을 합친 금액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하는 부분은 공제하지 아니한다. 1. 배우자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 6억원2. 직계존속[수증자의 직계존속과 혼인(사실혼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중인 배우자를 포함한다]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 5천만원. 다만, 미성년자가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에는 2천만원으로 한다. 3. 직계비속(수증자와 혼인 중인 배우자의 직계비속을 포함한다)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 5천만원 4. 제2호 및 제3호의 경우 외에 6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 1천만원 즉, 미성년 자녀의 경우 10년간 2000만원의 증여가 가능합니다.
법인세
2021년 3월 18일 작성 됨
Q.
법인입니다 양도세 법인세 관련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임현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법인의 경우 양도소득세가 아닌 법인세로 부동산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을 신고 납부합니다.따라서 다른 법인들과 마찬가지로 3월31일까지 법인세신고를 마감하셔야 합니다.올해 잔금을 치루셨다면 21년법인소득이므로 22년 3월31일까지 법인세 신고시 기장하여 외부조정으로 법인세를 신고하면 될 것입니다.
431
432
433
434
4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