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업에 집중하지 않는 아이를 어떻게 하면 수업에 잘 참여하게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학습에 있어서는 학습 동기 유발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래야 과정도 즐겁고 결과도 만족스러운 것 같습니다.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는 방법에는 주의 집중, 관련성, 자신간, 만족감 등이 있습니다.지각적 중의집중 전략은 짧은 시간 내에는 효과를 발휘 하지만 장기간의 주의 집중을 이끌어 내는 데는 효과가 없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탐구적 혹은 인지적 주의집중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학습자와 관련성이 높을수록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자신감 전략은 학습자 스스로 수업 내용의 학습 순서나 수업방법 그리고 수업 개선에 관한 건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자신의 선택에 대한 책임감을 부여하는 방법도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만족감 전략은 평가의 공평성 뿐 아니라 수업 내용과 평가 내용간 일치성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이렇게 동기 부여를 통해 학습자는 더욱 재밌고 진심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을 것입니다.
Q. 아이의 미디어 노출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어릴 때부터 스마트 폰에 노출되는 것은 득보단 실이 많기 때문에 자제하기를 권합니다.스마트폰에 빠져 있는 아이는 일반 아이보다 우측 전두엽 활동이 적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 뇌의 불균형 발달로 인해 ADHD, 틱장애, 발달장애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더불어 강한 자극에만 반응을 보이는 팝콘 브레인 현상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또 스마트 폰은 밝은 빛을 내는데 이것은 빠르게 성장하는 뇌 발달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아기때 스마트 폰에 많이 노출 되면 신체기능 , 신체능력, 운동능력이 저하 됩니다. 애를 써서 몸을 크게 움직여야 하는 노력 없이도 재밌는 자극을 주는 스마트 폰에 익숙해지면 신체능력 및 관련된 뇌기능 발달에 영향을 주어 악순환으로 이러지게 됩니다.마지막으로 스마트폰 과다 사용은 언어 및 청각 능력 발달을 저해하게 됩니다. 스마트 폰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아이들이 스마트 폰을 혼자 놀게 된다는 것입니다. 언어는 곧 관계를 상징합니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서로 의사소통을 주고 받는 과정 속에서 더욱 성장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도하게 스마트 폰을 사용하게 되면 상호 작용적 언어의 발달을 저해하게 됩니다. 다른 사람과 사회적 관계를 맺고 유지하기 위한 언어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이는 사회성 발달을 저해하게 됩니다. 이 모든 것을 고려하려 최대한 노출을 자제하시고 이미 스마트 폰을 사용하고 있다면 사용 시간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양육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