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디자인&마케팅&리뷰 등 문의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디자인&마케팅&리뷰 등 문의가능합니다.

장서형 전문가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과
미술
미술 이미지
Q.  그림 정말 못그리는데요. 평소 그쪽에 관심이 많은터라 그런데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기초실력을 제대로 습득하기위해서는 아무래도 그림도 독학보다는 학원에서 배우시는 것이 좋을것같습니다.배우다보면 단순 관심에서 그치기도하고 나아가 정말 빠져서 더 실력이 늘수도 있는 것이고 하니 관심이 많으시다면 한번 미술학원도 알아보시는것 추천드립니다.학원도 가르치는 스타일이 다르니 몇군데 알아보시구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그림 그리는걸 배우고 싶습니다. 수채화나 그런쪽 보다는. 그냥 일러스트 그리는쪽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어제 일본 일러스트 작가 전시를 보고왔습니다. 유코 히구치라는 작가인데 그림을 보니 어마어마한 양도 놀라왔고 일러스트 작가지만 수채화도 잘 표현하고 그렇더라구요.뭔가 풍부한 표현력을 키우려면 다양한 기초 화법도 접해보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소묘,수채화 등등 말이죠.그리고 이런 전시를 찾아서 많이 보신다면 앞으로의 방향설정에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과학의 그림그려야 해요. 그런데 주제를 못 정해서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요즘 ai기술에대해 사회적 관심이 높으니 인공지능기술의 발달을 그림으로 표현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부정적인 측면이나 긍정적인 측면 등을 포함해서 그리면 좋을것 같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미술 톤이 풍부하다 의미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색감을 잘 사용하고 명암을 잘 쌓는다는 의미일것같습니다. 소묘라면 입체감있게 잘 묘사한다라는 의미로 쓰는 표현같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대회가 이번주 주말인데 오늘 미술학원도 빠지고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슬럼프인것 같은데요. 압박이 큰 것 같습니다. 하지만 대회라는 기회는 매번 찾아오지 않죠. 이럴때일수록 자신을 더 믿고 다가올 일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그동안 하신대로만 해도 될 것 입니다.너무 부담갖지 마시고 늘 그리던 것처럼 하면된다 생각해보시구 화이팅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인체소묘 모델을 그리는것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인체의 평균적인 비율, 가령 팔등신으로 나눈다던지 얼굴에서 이마부터 코, 턱까지를 1:1:1 비율로 나눠 그리는 등 관절마다 비율을 계산해서 그려보세요. 사진 위에다가 비율을 나눠본뒤 실제 그림으로도 옮겨보시구요. 아니면 이런 인체비율을 다양하게 그려놓은 인체드로잉책을 보시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디자인 입시미술 하는 데요 슬럼프네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관련 학원에 다니고 계시다면 선배나 선생님에게 솔직하게 조언을 구해보세요. 입시만을 위해서도 잠깐 학원을 다니는것이 도움이 되더라구요. 막히는 부분이 있을때는 꼭 세부적인 코칭을 받아보시길 바라며, 힘내세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미술하려면 많은 작품과 그림알아야.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어떤분야에 관심있는지에 따라 네이버카페에 가입하시는것도 추천드리고 요즘은 유튜브나 인스타 핀테레스트에도 구경할수있는 작품들이 많아서 좋은것 같고, 또 카카오톡예약하기 친구추가해놓고 전시회 새로하는것 얼리버드 특가로 관람하시는것도 추천드리며, 전시관련 앱으로 라이프플러스 앱도 한번 사용해보세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전시회장이나 박물관 등을 방문하는 것은 사람들마다 호불호가 갈리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취향과도 연관이 있을 것이구요. 전시장이나 박물관에가는 것을 지루해하는 사람들도 의외로 많습니다. 또 작품을 봐도 어떤걸 느껴야하는지 몰라서 묻는 사람도 있습니다.이러한 기회를 자주 가지다보면 차츰 나아질수있겠지만 처음부터 관심없는사람들은 옆에서 설명해줘도 딱히 관심을 보이지않더라구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르누아르 작품질문 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그림 속 왼쪽에 있는 아이가 누나이고 가운데 의자에 앉아있는 아이가 남동생이라고 합니다.그 당시에는 유아기의 아이들은 딱히 성별을 구분짓지 않고 옷을 입혔다고 합니다. 원피스를 입히는 것이 화장실을 잘 가리지못하는 시기에 편하기도 하고, 그 나잇대에는 겉으로 봤을때 성별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나지도 않고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