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술에서 무슨 주의 무슨 주의 이렇게 하는 것은 몇 년 마다 한번씩 그렇게 바뀌었나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미술 사조는 역사적으로 특정한 시기에 따라 발전하고 변해왔습니다.특히, 그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배경에 따라 영향을 받고 대개는 몇 년에서 수십 년에 걸쳐 꽃피우고 바뀌고를 반복해왔는데요.시기 순서별로 조금 정리하면,인상주의(1860년대 중반~1880년대 초) -> 표현주의(1905년~1930년대) -> 추상주의(1910년대~현재) -> 입체주의(1907년~1914년) -> 초현실주의(1920년대~1940년대) -> 현대미술(1960년대~) 순으로 발전해왔습니다.
Q. 조선후기 미술계의 특징은 어땠나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조선후기에는 민속화가 크게 발전했다고 합니다. 특히, 김홍도, 신윤복 같은 화가들이 활동하던 시기로 서민의 일상생활, 풍속, 풍경 들을 많이 그리면서 당시 사회 모습, 특히 민중의 삶을 다양하게 담아 낸 특징이 있습니다.그리고 사대부 계층의 문화가 미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전통 유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정물화, 초상화, 그리고 이러한 작품들은 개인의 품격과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습니다.또, 19세기 중반부터는 서양 미술 기법과 재료가 유입되면서 조금씩 변화가 나타나 원근법과 명암법이 적용된 새로운 화풍이 등장한 것입니다.이렇듯 단순히 과거의 연장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변화와 문화적 흐름에 따라 조선후기만의 독특한 문화발전이이뤄진 것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