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에서 무슨 주의 무슨 주의 이렇게 하는 것은 몇 년 마다 한번씩 그렇게 바뀌었나요
미술 같은 경우는 그리 길지 않은 시간 사이에 여러 가지 주의라는 표현을 쓰면서 거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데요.
표현주의 인상주의 추상주의 등 등
이러한 것들이 몇 년 정도에 한번씩 바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
미술 사조는 역사적으로 특정한 시기에 따라 발전하고 변해왔습니다.
특히, 그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배경에 따라 영향을 받고 대개는 몇 년에서 수십 년에 걸쳐 꽃피우고 바뀌고를 반복해왔는데요.
시기 순서별로 조금 정리하면,
인상주의(1860년대 중반~1880년대 초) -> 표현주의(1905년~1930년대) -> 추상주의(1910년대~현재) -> 입체주의(1907년~1914년) -> 초현실주의(1920년대~1940년대) -> 현대미술(1960년대~) 순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일정한 주기로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역사적으로 몇 년 간격으로 주요한 미술 사조가 등장하고 변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의와 양식의 변화는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대개 기술의 발전, 사상적 변화, 문화적 트렌드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근대 미술(근대 이후)에서는 모더니즘의 발전을 따라 주의들이 변화해 왔습니다. 주의라는 개념 자체는 예술의 흐름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사조가 변할 때마다 그 이전의 미술 양식에 대한 반발이나 비판적 시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새로운 사조는 기술적 진보, 철학적 사고, 문화적 변화에 반응하며 나타나고, 그것이 그 시기의 예술적 특징을 규정짓게 됩니다. 인상주의는 자연의 변화를 빛과 색으로 포착하려는 시도. 세밀한 묘사보다는 인상을 중시하고, 짧은 붓터치와 명암 대신 색으로 빛의 변화를 표현인데 산업 혁명과 함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이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과 생활 양식이 변화했고, 이에 따라 구체적인 형태보다는 감각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을 담은 그림이 유행하게 됐습니다. 그리고 1차 세계대전과 산업화의 급격한 발전 속에서 미술가들은 기존의 전통적 형식을 벗어나 추상적이고 비정형적인 표현을 통해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그 후 아이디어와 개념이 예술 작품의 핵심. 물리적인 작품의 생산보다 아이디어와 개념 자체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게 됐습니다. 미술에서 대개 20년 정도의 주기로 새로운 사조가 등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각 사조는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새로운 사조는 이전의 사조를 비판하거나 그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점을 이해하시면 미술의 경향이 이해 되실 것입니다.
답변이 참조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