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큰타격을 받는다하는데요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꿀벌이 사라지게 된다면 꿀벌로 인해 교배되었던 식물들의 개체수도 감소하게 되고 이러한 식물들이 감소하게 되면 식물을 섭취하던 초식동물들도 자연스럽게 개체수가 감소하게 됩니다. 초식동물을 먹이로 활동하는 육식동물도 피해를 입게 되는데요. 이렇게 얽혀 있던 자연 생태계가 꿀벌의 감소로 인해 영향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먹이사슬에 꼭대기에 있는 인류도 이로 인해 타격을 받기 때문에 사라진 꿀벌들의 원인을 분석하고 있는 중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소주를 마시면 장기가 소독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소독이 가능하기에는 소주의 알코올 농도가 낮습니다. 따라서 식당에서 소주를 이용해 소독하는 것은 효력이 없습니다. 살균효과가 있는 정도의 알코올 농도는 약 80%는 되어여하기 때문에 소주로는 장기가 소독되기는 어렵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새가 공룡의 후예인가요? 아니면 공룡 그 자체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의 공룡은 파충류의 조상으로 알려져있으나 최근 나오는 근거로는 공룡은 바로 새의 조상이라는 주장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공룡에게는 깃털이 있고 알을 통해 부화하기 때문인데요. 아무래도 화석과 주변 환경을 근거삼아 그 시대에 살고 있는 공룡들을 최대한 재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공룡의 형태가 변하고 있는데 최근의 근거들을 종합하면 공룡은 새의 조상이라는 근거에 힘이 실어지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적조 현상이 발생할 때 황토를 뿌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적조현상은 육지의 오염물질들이 바다로 흘러가면서 수중에 영양분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플랑크톤이 왕성하게 번식하면서 개체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여기서 문제는 개체수도 있겠지만 사체들도 많아지게 되면서 문제가 되는 것인데요. 이 때 황토를 뿌리게 되면 수중에 질소와 인 성분이 황토에 달라 붙어 가라앉게 되고 이로 인해 플랑크톤의 먹이가 줄게 됩니다. 또한 황토로 인해 햇빛이 차단되게 되면서 번식을 억제하기도 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휴대폰과 보조 밧데리 경우의 경우 어떻게 사용하는게 수면이 길거나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지 배터리는 과방전 또는 과충전은 배터리에 데미지를 누적되고 노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수명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보통 충전상태는 20~80%정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정 수준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유지하면서 배터리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역사상 최초로 오토바이를 발명한 사람은 누구인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 오토바이를 발명한 사람은 19세기 독일 엔지니어이면서 발명가인 Gottlieb Daimler입니다. 다임러는 가솔린을 사용하는 내연기관을 만들어서 나무로 만든 자전거 프레임을 이용하여 세계 최초 오토바이를 만들었습니다. 단일 실런더, 4행정 엔진이 장착된 것으로 최대 속도는 시속 약 10km 주행이 가능한 오토바이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성의 모습이 예전에는 물도 있고 푸른 모습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NASA의 화성탐사에서 과거 물이 존재했다는 흔적을 지표면에서 발견했습니다. 고대 화성에 호수가 있어서 물결이 남아있는 표면을 증거로 삼고 있는데요. 표면의 물결모양을 제외하고도 황산염과 같은 염분이 포함된 광물을 발견했는데 이는 물이 서서히 말라가는 것을 증빙하는 물질들이기에 주장에 힘을 실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거로 과거 화성에는 물이 존재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커피포트에서 물을 끓일 때 나오는 하얀 연기는 김인가요, 수증기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커피포트에서 물이 끓게 되면 하얀 김이 올라오는데요. 올라오는 김에 가림막 같은 걸로 가리게 되면 물이 맺히는 것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즉 수증기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물이 끓는 점을 도달하면서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자렌지는 구체적으로 어떤 원리로 음식을 데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마이크로파로 인해 음식을 데우는데 부가 설명을 드리자면 음식물에 있는 수분이 마이크로파로 인해 미세 진동이 일어나고 이러한 미세 진동으로 열이 발생하면서 음식이 뎁혀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자레인지를 너무 오래 돌리게 되면 음식이 퍽퍽해지고 딱딱해지는 이유가 수분기가 증발하면서 그런 것인데요. 따라서 음식물을 데우실 때 수분기가 없다면 컵에 물을 담으시고 같이 돌리시면 촉촉하게 뎁힐 수 있게 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빛을 한곳에 집중하면 불이 나는 효과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돋보기의 렌즈로 태양 빛을 반사하는데, 이 빛을 한 점에 집중할 수 있께 모아주게 됩니다. 돋보기의 렌즈는 이 빛을 굴절시키고 작은 곳에 집중하게 되면서 열 에너지로 변환되게 됩니다. 일정 에너지 이상 도달하게 되면 열이 가해지고 불이 붙게 되는 것입니다.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