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3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숯은 어떻게 가습기 역할을 대신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숯을 만들게 되면서 숯 안에는 수많은 구멍이 생기게 됩니다. 이 구멍을 통해 먼지와 같은 오염성분은 흡착하게 되면서 공기가 청정되고 일정 물에 담가두게 되면 습도 조절을 통해 가습기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친환경적이며 숯에는 미네랄이 들어있기 때문에 건강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11월 12일 작성 됨
Q.
닭의 조상이 공룡인 것이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이전에는 공룡은 파충류에 가깝다고 주장이 되었지만 요즘은 조류의 조상이 공룡이라고 밝혀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닭을 이용해 공룡을 부활시키겠다는 프로젝트들도 있는데요. 우리가 아는 영화 속 공룡은 도마뱀과 유사하지만 지금 밝혀지는 공룡의 모습은 깃털이 존재하고 알을 낳기 때문에 조류에 가깝다고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닭은 공룡에서 분화 또는 진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화학
2023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오븐에 빵을 구우면 부풀어오르는 과학적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빵을 굽게 되면 부푸는 이유는 반죽할 때 밀가루에 있는 단백질이 글루텐을 만들고, 전분ㅇ은 당분으로 분해되게 됩니다. 발효를 위해 효모를 넣게 되는데 이 때 미생물은 발효성 당분을 이용해서 이산화탄소를 생산하게 되는데 글루텐과 발효성 당분으로 인해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면서 빵이 부풀어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물리
2023년 11월 12일 작성 됨
Q.
파스를 붙이면 시원함을 느끼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파스에 들어있는 성분에 의해서 시원함을 느끼게 되는데요. 흔히 알고 있는 성분으로는 멘톨이나 캄파와 같은 성분으로 인해 쿨감을 주어 환부의 염증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을 줍니다.
화학
2023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요즘 사계절이 없어지는것같은데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이유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올라가게 되면서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온도변화의 뚜렷함이 옅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온도 상승만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가파르게 상승하는 속도 때문에 가장 큰 문제인데요. 이러한 문제를 최대한 방지하고자 탄소제로화라던지 재활용에 대한 방안, 일회용 제품 줄이기, 등 세계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노력 중에 있습니다.
기계공학
2023년 11월 12일 작성 됨
Q.
병마개의 톱니모양은 왜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병마개는 21개의 톱니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이유는 음료수가 상하는 것을 막아서 식중독으로부터 안전하기 위함입니다. 미국의 한 농부가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오래 보관할 수 있는지 연구 끝에 탄생했는데요. 21개보다 적으면 헐거워져서 음료수가 부패할 수도 있고 너무 톱니수가 많으면 딸 때 힘이 많이 들어가기에 현재까지 모양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기계공학
2023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정말 차량을 총알로 쏘면 폭발하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총알을 차량에 충분히 쏟아부은다면 폭발할 수 있습니다. 차량 안에는 기름이 존재하고 촉매제의 역할로 총알이 직접 닿거나 단품들의 폭발로 인해 차량도 터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일 경우는 한 번 불이 붓게 되면 쉽게 소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영화처럼 터질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사람은 살면서 뇌의 총 몇 퍼센트를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의 뇌 사용량에 대해 어느정도 사용하는지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정확한 숫자로 표현하기란 매우 어려운데요.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로 어떻게 활동되는지 정도는 파악할 수 있겠습니다. 흔히들 알고 있는 정보로는 인간은 뇌를 100% 사용하게 되면 과부하에 걸릴 수 있고 보통 10%정도 사용한다고는 하지만 명확히 측정한 데이터 값은 아닌 점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학
2023년 11월 12일 작성 됨
Q.
1차전지와 2차전지를 넘어선 전지도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2차전지의 충,방전 방식에 이어서 3차전지가 존재하는데요. 전세계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활발하게 기술 개발하고 있는 수소 연료 전지가 이에 해당합니다. 수소 연료 전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산소와 수소가 물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생성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의 문제인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현재 높은 비용과 수소를 보다 안전하게 저장해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여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중국이흑연을 수출규제한다고발표했는데 이것과 2차전지랑 어떤관계지가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2차전지에서 흑연의 역할은 양극재, 음극재 중 음극재의 에너지 저장 용량과 성능 및 효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시다시피 천연 흑연 수출이 규제한다고 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인조흑연 기술 개발이 완료되어 천연 흑연을 대체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