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오븐에 빵을 구우면 부풀어오르는 과학적 원리가 뭔가요?

영상에서 보면 빵을 만들때 반죽을 하고나서 오븐에 넣어서 굽는데요. 작은 빵이 오븐에서 나올때는 엄청 크게 나오던데요. 이건 어떤 과학적 원리가 숨겨져 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Panda
      Panda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빵을 굽게 되면 부푸는 이유는 반죽할 때 밀가루에 있는 단백질이 글루텐을 만들고, 전분ㅇ은 당분으로 분해되게 됩니다. 발효를 위해 효모를 넣게 되는데 이 때 미생물은 발효성 당분을 이용해서 이산화탄소를 생산하게 되는데 글루텐과 발효성 당분으로 인해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면서 빵이 부풀어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빵을 만들 때 오븐에서 나오는 크기가 작은 반죽보다 크게 나오는 이유는 바로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 때문입니다. 반죽 속에 들어있는 효모가 설탕과 온도에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는데 이 가스가 빵 속에서 쌓이면서 반죽이 부풀어오르게 됩니다. 그리고 오븐 속에서 빵이 굽히면서 이 가스가 더욱 팽창하게 되어 빵의 크기가 더욱 커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산화탄소 가스는 빵 속에서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먹는 탄산음료나 맥주 등에서도 발생하는데요. 이 가스가 빵 속에서 발생하는 것은 빵의 맛과 향을 좋게 만들어주는 역할도 합니다. 그리고 빵 속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는 빵의 구멍을 만들어주는 역할도 해서 빵이 부드럽고 촉촉하게 구워지는 것을 도와줍니다.

      그리고 빵을 굽는 동안 발생하는 열 역시 빵의 크기를 더욱 커지게 만드는데요. 오븐 속에서 빵이 굽히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반죽 속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빵의 크기가 더욱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오븐에서 꺼내면 작은 반죽이 크게 부풀어오른 빵으로 변신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빵을 만들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와 열이 빵의 크기를 더욱 커지게 만드는 과학적 원리가 숨겨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와 열은 빵의 맛과 향을 좋게 만들어주는 역할도 해서 우리에게 맛있는 빵을 선물해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빵을 구우면 부풀어오르는 과학적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이스트의 발효에 의한 것입니다. 이스트는 당분을 먹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미생물입니다. 빵 반죽에 이스트가 들어가면, 이스트가 반죽의 당분을 먹고 이산화탄소를 생성합니다. 이산화탄소는 기체이기 때문에 반죽에 기공을 형성하게 됩니다.

      두 번째는 글루텐의 형성에 의한 것입니다. 글루텐은 밀가루에 함유된 단백질의 일종입니다. 밀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하면, 글루텐이 형성됩니다. 글루텐은 탄력성이 있어 반죽을 잡아당기면 늘어나지만, 끊어지지는 않습니다. 이 탄력성이 반죽의 기공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오븐에 빵을 굽으면, 반죽의 온도가 상승합니다. 이산화탄소는 온도가 상승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는 반죽의 기공을 팽창시켜 빵을 부풀어오르게 합니다. 또한, 글루텐은 열에 의해 단단해지면서 반죽의 기공을 고정시켜 줍니다.

      따라서, 빵을 구우면 이스트의 발효와 글루텐의 형성에 의해 반죽의 기공이 팽창하고, 이 기공이 고정되면서 빵이 부풀어오르게 됩니다.

      빵의 부피가 얼마나 부풀어오르느냐는 반죽에 함유된 이스트의 양, 반죽의 온도, 오븐의 온도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스트의 양이 많을수록, 반죽의 온도가 높을수록, 오븐의 온도가 높을수록 빵의 부피는 더 많이 부풀어오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빵 반죽을할때 효모와 같은 미생물을 섞어서 반죽하게 되는데,
      효모는 반죽안의 당분과 수분을 먹고 발효성 성분과 이산화탄소를 만들게 됩니다.

      우선 이 작용에의해 반죽자체가 크게 부풀게 되고,

      빵을 굽게되면 이렇게 만들어진 이산화탄소가 팽창하고 빠져나가면서 더 크게 부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븐에서 빵이 구워질 때 부풀어 오르는 과학적 원리는 "발효"라고 불리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이스트의 작용에 의해 일어납니다.

      빵의 반죽에는 이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스트는 빵 반죽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분자들을 분해하여 이산화탄소와 알코올을 생성합니다. 이산화탄소는 주로 가스 상태로 방출되는데, 반죽 속에 포집되면서 부풀어 오르는 것을 야기합니다.

      또한, 이스트가 생성한 알코올은 오븐 내부에서 빵이 가열되면서 증발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빵의 내부를 부풀리는 역할을 합니다. 수증기는 빵 반죽의 단백질과 전분 등을 기반으로 형성된 강력한 구조를 형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븐에 구울때 빵이 부풀어 오르는 이유는 반죽 과정에서 밀가루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글루텐을 형성하고, 전분은 발효성 당분으로 분해되는 과정이 일어납니다.

      효모 등의 미생물은 이렇게 생성된 발효성 당분을 이용하여 다양한 풍미 성분을 만들고 이산화탄소(CO2)를 생산하는데, 반죽의 글루텐이 이러한 풍미 성분과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빵이 부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