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9월 21일 작성 됨
Q.
요즘 스피노사우루스는 왜 네발로 기어다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스피노사우루스는 지금도 계속해서 변해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화석만으로 어떤 구조로 어떻게 생활했겠구나 하고 추측하고 재현하다보니 항상 논란의 여지가 있는게 공룡 복원입니다.처음엔 티라노와 싸워서 이길정도로 강력한 육상 공룡 중 한마리였는데요. 그러다 뒷다리 복원 중 계산이 잘못되어 짧아지면서 두발에서 네발로 걷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등에 있는 돛에 의해 헤엄치기 좋은 구조라 하여 수영하게 되었습니다. 수중생활로 결론이나는 도중에 버팔로의 구조처럼 지방과 근육으로 덮혀있다는 의견이 주장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21일 작성 됨
Q.
창문에 맺힌 빗방울은 왜 안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내리는 날 창문에 닿으면서 바로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표면장력 때문에 창문에 맺히게 되는 것입니다. 표면장력이란 액체 표면이 스스로 수축하여 작은 면적을 취하려는 힘으로 이 힘에 의해 맺혀 있을 수도 있으며 모양이 원형으로 생기는 이유입니다. 우리 주변에 쉽게 볼 수 있는 표면장력은 물컵에 물을 담다보면 넘칠 것처럼 차오르는데 안흘러내리고 버티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표면장력에 의해 버티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화학
2023년 9월 21일 작성 됨
Q.
달걀을 삶은 후 찬물을 넣으면 껍질을 쉽게 벗겨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계란을 삶게 되면 껍질 안에서 팽창하게 되면서 삶아지게 되는데 이 때 찬물에 담구게 되면 계란이 수축하게 되서 껍질과 계란 사이에 미세공간이 생기면서 팽창되었던 계란에 비해 손 쉽게 계란 껍질을 분리할 수 있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9월 21일 작성 됨
Q.
피는 왜 빨간색인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적혈구에는 헤모글로빈이 있는데 이 헤모글로빈 내의 철(Fe)에 산소가 달라붙어 결합하게 되면 산회되면서 색깔이 빨간색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쉽게 생각하시게 되면 철이 녹으면서 산화가 일어날 때 붉게 변하게 되는데 우리의 혈액 또한 동일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기계공학
2023년 9월 21일 작성 됨
Q.
단조와 주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단조는 망치나 프레스로 두드려 형태를 만드는 가공 방법을 말합니다.주조는 단조와 달리 금형 안에 높은 온도로 녹인 금속을 부어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 금속가공방법입니다.다이캐스팅은 주조와 달리 정밀하며 주물 표면이 우수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9월 20일 작성 됨
Q.
전에 tv를 보니 타조알은 일반 계란보다 10배는 더 크던데요 이런 타조의 경우 일년에 몇번 씩 낳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닭처럼 매일 낳지는 않지만 그래도 타조는 1년에 50개에서 90개정도 알을 낳습니다. 타조는 20개월부터 알을 낳을 수 있는데 1일 2~6회 교미로 2~3일에 하나씩 알을 낳는 편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9월 20일 작성 됨
Q.
카멜레온의 몸색깔이 변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카멜레온은 피부를 이용해 몸의 색깔을 바꿀 수 있는데요. 정확히 말하자면 우리에게 피부를 이용해 주변과 유사한 색을 골라서 반사시키기 때문에 우리 눈에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카멜레온의 피부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홍색소포라는 반사판이 있습니다. 이 홍색소포를 이용하여 피부 수축 및 이완을 통해 구조를 바꾸면서 원하는 파장만 반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무중력 공간에서는 체중을 잴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무중력은 저울을 포함하여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하는 상태에서 중력을 측정할 수 없기에 체중을 잴 수 없습니다. 우리 생활 속 체중 측정은 예를 들어 60kg일 경우 표기방법은 60kg라고 보통 적지만 엄밀히 따지면 60kg중이 맞는 표현입니다. 중은 중력을 의미하는 것이죠.
생물·생명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인간은 개발하고 연구하는 등 창조를 통해 진화하는데 동물도 진화를 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들도 외형적인 변화뿐만 아닌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변한 사례도 많습니다. 판다의 경우 대나무를 잡기 위해 발바닥에 여섯번째 가짜 엄지가 있는 것도 진화의흔적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강아지의 경우 인간과 공생하게 되면서 그에 맞춰 사람과 지낼 수 있게 진화된 것이죠. 고래와 매너티 같아 육상생물이였으나 바다 또는 강에 적응하여 살 수 있게 진화하여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우주에 오래있으면 몸이 약해진다고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는 평소 일정 중력을 받으면서 일생생활 또는 운동을 통해 근력이 유지되게 됩니다. 우주는 무중력 상태로 기존에 사용했던 근육 사용량이 줄면서 점차 근육이 빠지게 되면서 몸이 약해지게 됩니다. 이 문제는 단순 근육만 문제가 아닌 관절, 혈액순환, 등 연관된 문제들을 야기하게 됩니다.
196
197
198
199
2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