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라면 끓일때 끓는점을 어느정도까지 올려야 더 맛있는 라면을 먹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끓는 점은 100도 이지만 라면스프를 넣으면 흔히들 끓는점이 올라가서 맛있게 먹을 수 있다고하시지만 스프로 인래 온도가 올라갈 정도는 5도 내외입니다.결국 끓는 점만으로는 유사하기 때문에 물이 끓었을 때 면발을 넣는 것이 좋겠습니다. 물을 원하시는 양만큼 넣고 미리 스프를 넣는다면 면에 간이 잘 베이기에 맛있게 라면을 드실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인간은 동물실험은 왜 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은 의학 발전을 위해 또는 연구를 위해 동물을 통해 여러 실험을 하여 검증하게 됩니다. 만약 동물 실험을 하지 않고 인간에게 바로 여러 치료제들이 적용된다면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동물들의 희생이 정당화될 순 없지만 그나마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다 보니 임상실험을 아시는 것처럼 진행하는 것입니다. 물론 말씀하신 것처럼 동물에 이상반응이 없다고 우리 몸도 이상반응이 없으리란 보장을 못하기 때문에 인간에 적용하기 전 충분히 추가 실험을 하는 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최강의 이빨고래 리비아탄은 메갈로돈을 이길수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리비아탄과 메갈로돈은 한 때 공존하는 시기가 있었지만 누가 더 쌜지는 확인이 되지 않았지만 개인적인 추측을 하자먼 리비아탄은 무리 생활을 하규 메갈로돈에 비해 크기는 작았습니다. 반면 메갈로돈은 혼자 생활하기 때문에 자연으로 만나서 다툴경우 메갈로돈이 불리할 것 같은데요. 만약 한마리의 개체끼리 싸우게 된다면 덩치가 큰 메갈로돈이 유리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몸에서 나는 털은 왜 일정이상 길어지지가 않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털마다 자라날 수 있는 길이가 한정되어 있는데 일정 길이까지 자라게 되면 휴지 기간을 갖는 것이죠. 머리카락은 다른 탈과 달리 그 길이가 깁니다.또한 머리카락과 달리 다른 부위에 털은 지속적인 마찰로 인해 머리카락처럼 길게 자라지 못합니다. 머리카락은 큰 마찰이 없고 자외선으로부터 우리 머리를 지키기 위해 자라나게 되는 것이죠
화학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어째서 날씨가 추울수록 몸이 더 많이 굳어지는 것 같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날이 추울수록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피부 및 근육이 수축하게 됩니다. 그에 따라 자연스레 몸이 굳어지게 되는데요. 또한 체온 유지를 위해 혈액순환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됩니다.
화학공학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플라스틱의 제조의 과학적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스틱 제조과정을 쉽게 설명드리자면 수지라고 플라스틱 제조전 원료를 말합니다. 이 수지는 딱딱한 알갱이로 되어있는데 이를 넣으면 히트게이지라해서 열을 전달하여 수지를 녹여 관을 타고 케비티로 흐르게 됩니다. 케비티는 만들고자하는 형틀을 의미합니다. 케비티 안에 수지가 차오르고 금형이 열리게 되면 원하고자하는 제품이 사출되게 되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는 태풍이라고 하는데 미국에서는 주로 허리케인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과 허리케인은 같은 현상이긴 하지만 발생지에 따라 다르게 불리게 됩니다. 태풍과 허리케인 둘 다 따뜻한 해상 위에서 만들어지기에 바다의 열 에너지에서 힘을 얻게 되는데요. 여기서 만들어진 폭풍이 북대서양 또는 동태평양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허리케인이 되고 서태평양으로 이동하게 되면 태풍이 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빛 보다 빠르면 시간은 거꾸로 갈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빛보다 빠르기만해서는 시간이 거꾸로 가지 않습니다. 또한 이론적으로 시간을 과거로 돌릴 수는 없지만 상대적으로 마치 미래로 시간 여행을 한 것처럼은 가능합니다. 시간을 되돌리기에는 무리가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화학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콜라마시고 코로 트름하면 왜 눈물이 핑 도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입으로 나와야하는 트름이 입에서 코로 올라가면서 얼굴에 압이 차게 되고 이 압에 의해 눈이 자극되게 됩니다.자극된 눈에서 자연스레 눈물이 나오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9월 12일 작성 됨
Q.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의 속도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의 속도를 결정 짓는 요인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첫 번째는 떨어지기 전 물의 속도입니다. 빠른 유속으로 흐르게 된다면 더 빠른 속도로 물이 떨어지게 됩니다.두 번째는 떨어지는 물의 양입니다. 물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중력의 힘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더 빠르게 물이 아래로 떨어지게 됩니다.
201
202
203
204
2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