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장준원 전문가
Peopleworks
Q.  초전도체는 처음에 누가 발견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 초전도체가 발견된건 1911년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라는 사람이 고체 수은의 저항을 헬륨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측정하다가 확인되었습니다. 4.2k의 온도에서 저항기 갑자기 사라진 것을 발견했는데 이후 1913년 납의 초전도가 발견되고 이후에도 여러 물질에서 발견되었습니다.말씀하신대로 상온 초전도체가 상용화된다면 산업 혁명이 한 번 더 일어날 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Q.  오존층이라는 것은 파괴되면 자연복구가 불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오존층이 파괴되었다고 자연 복구가 불가하지 않습니다. 과거 오존층 파괴를 기점으로 현재까지 상당히 많이 회복된 상태입니다. 그럼 오존층이 복구가 많이 되었지만 아직도 기후 문제가 발생되는 이유는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너무 높아졌기 때문인데요.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기체로 인해 천체 표면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지구에 머물게 되면서 자연스레 대기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효과를 온실효과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지구의 온도 상승이 어느 시대때보다도 가파른 상황입니다.
Q.  판다의 아기(새끼)는 왜 작은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판다는 소화기관이 육식동물이지만 주식은 대나무인 즉 초식을 하기 때문에 기초대사량이 적은 상태로 살아가기에 필요 에너지양도 적고 임신 중에 필요한 칼슘도 부족하기 때문에 태아가 작게 태어나는 쪽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실제로 성체인 판다는 엄청난 양의 대나무를 먹어 체중을 유지하며 먹지 않을 때는 대부분 잠자는 시간으로 보냅니다.
Q.  판다는 언제부터 대나무를 먹게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판다는 유전자 변이로 인해 고기 맛을 느낄 수 없게 되면서 주변에 있는 대나무를 먹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대나무를 쥘 수 있게 가짜 엄지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소화기관은 육식동물에 맞춰져 있다보니 대나무를 먹어도 영양분을 온전히 얻기가 힘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엄청난 양의 대나무를 섭취하는데요. 많은 양도 섭취하고 움직이는 시간을 줄여 최대한 에너지를 아끼기 때문에 먹고 자는 시간이 대부분입니다.
Q.  가을철에 유독 하늘이 높게 보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이 유독 높고 파란 이유는 가을에는 대기 속 수증기 양이 줄어들고 건조한 대기 상태가 유지되면서 작은 물방울 형태가 적어지고 파장이 짧은 파란빛의 산란이 더 잘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늘이 파란색을 띄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높은 이유는 지표면에 닿는 태양빛이 적기 때문에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지 못하면서 하층운이 생성되지 않고 상공에서 상츤운이 보이게 되면서 높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3713723733743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