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한글쓰기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좋아하는 케릭터 글자를 쓰게 해 보기 바랍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또는 관심있어 하는 부분부터 시작을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과자 봉지에 있는 과자 이름을 보드판에 적어 보면서 놀이식으로 접근해보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8세 아이들 핸드폰 사주셨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요즈음엔 미취학 아동들도 핸드폰을 들고 다니는 것을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핸드폰을 사주는 시기는 각 가정의 환경마다 다르겠지만, 아무래도 아이가 밖에서의 활동 시간이 많아지는 초등학교에 가게 되면 고려해 볼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말은 다 알아 듣고 행동하는데 말을 안하는 아이 어떻게?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말이 너무 느리다면, 아이와 일상 속에서 말을 많이 걸어 주어서 언어 자극을 많이 주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아이가 노는 모습이나 행동 하나 하나에 부모님은 계속해서 말로 풀어서 설명을 해주는 게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 ㅇㅇ가 웃고 있구나! 색연필로 동그랗게 그림을 그렸구나! 밥을 먹고 있구나 등의 말들을 끊임없이 해주셔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기 열이요 올랐다가 내렸다가 해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방안을 덥지 않게 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얇은 옷을 입히시고, 찬물 보다는 미지근한 물을 자주 마시게 하는 것도 열을 내리게 하는 방법입니다. 해열제는 아직은 괜찮을 것 같은데, 열이 계속 오른다면 투여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놀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19개월 아기위해 많이 놀러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기가 어느 정도 자라게 되면 기억력이 좋아지긴 합니다 여행을 하는 것도 좋지만, 평상시에 일상 생활에서 아이가 좋아할 만한 활동들을 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책을 읽어 주거나, 노래를 불러 주거나, 장난감으로 놀아 주는 활동 들도 아이의 기억속엔 남아 있을 겁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처음 이유식을 시작할 때 잘 못먹어도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분유를 먹다가 갑자기 이유식을 먹게 되면 아이들이 쉽게 적응을 하지 못한답니다 우선은 분유가 계속적으로 주식이 되어야 합니다 어느 정도 이유식을 먹게 되면, 차츰 차츰 분유를 줄여 나가면 됩니다
놀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태어난지 35일 되는 갓난아기와 외출해도 문제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생후 35일이 되었어도 신생아 시기이므로 가급적 외출은 삼가해야 합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붐비는 곳엔 아이를 데려가서는 안됩니다. 어느 정도 면역력이 생길 때 그 때 외출하십시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잠을 자려고 하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잠을 자기 전에 목욕을 시켜 보기 바랍니다. 목욕을 하고 나면 근육이 이완되서 바로 잠이 들 것입니다. 그리고 주변 분위기를 어둡게 하고, 가족모두도 같은 시간에 자는 게 중요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해열제 교차복용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다른 해열제를 쓸 경우에는 2시간 텀을 두고 교차 복용을 해야 합니다. 똑같은 해열제는 4시간 간격을 두고 복용을 해야 하구요. 다른 해열제로 교차 복용을 했는데도 고열이 계속된다면 빨리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무조건 이기려드는 성격을 가진 아이에게 어떻게 교육을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심리적으로 불안함을 느끼는 게 아닐까요?그리고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 주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자존감 높은 아이들은 등수나 승부욕에 크게 의미를 두지 않는답니다.평소에 부모님께서는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 주시는 게 좋으며 결과물 보다는 활동하는 과정에 큰 의미를 두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701
702
703
704
7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