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전문가입니다.
전지훈 전문가
맑은소리언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39개월 남아 귀막는행동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귀를 막는 행동이 아마도 습관으로 굳어진 게 아닐까 싶습니다또는 아이의 귀가 정말 아파서 그럴 수 있으니, 소아과에서 진료를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부모님이 깜짝 놀라면 아이가 그 행동을 과하게 하는 경향도 있으니, 언급하신 내용대로, 크게 내색하지 않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신생아 80일 적정한 수유량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신생아의 수유량은 2개월에서 백일 사이의 아가들의 수유량은160ml 씩 하루 6회 정도 수유를 하면 됩니다. 아이들마다 소화되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참고만 하기 바랍니다.잘 먹다가도 또 어느 땐 갑자기 정체기가 오는 경우도 있으므로많이 찾을 땐 분유량에 상관없이 먹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유치원에 다녀오면 계속 울고만 있습니다. 왜이럴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시댁에 아이를 맡긴 진 얼마 되지 않았을까요? 그렇게 되면 아이도 항상 집에서 엄마와 있었는데 갑자기 할머니댁에서 지내야 하는 상황이 싫어서 우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또는 유치원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통해서 아이의 유치원 생활에 대해 점검을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시립, 국공립 어린이 집은 매년 아이들을 다시 추첨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9월에 첫 입소를 하게됐다면, 이미 입소가 된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추후에 다시 추첨은 하지 않고, 입소가 되지 않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하게 됩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말을 배우고 시작하는 시기가 언제쯤 될까여?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말을 시작하는 시기는 아이가 말을 할 수 있는 시기는 보통 8~12개월 정도에 처음 말을 합니다. 12개월에서 18개월 정도 되면 느리게 언어가 발달이 되고, 18개월 전후로 언어가 급진전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 덜 싸우게 하려면 어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이 서로 어울리다보면 싸우고 또 잘 놀고를 반복하는 것 같아요. 아이들이 놀 땐 아이들끼리만 놀게 하면 싸움이 일어날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부모 중 엄마, 아빠가 아이들 놀이 속에 참여해서 같이 놀아 주시면 싸움이 줄어들 것입니다.
놀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기에게 꼭필요한 영양요소가 머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나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아이의 장 건강을 지켜주는 유산균과정상적인 면역기능을 증진시키는 아연.뼈의 발달과 칼슘 흡수에 필요한 비타민d 등을 필요하지만, 항상 병원과 약국에서 상의후에 결정해야 합니다
놀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집에서 할 수 있는 아이의 오감발달 놀이는 어떤 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집에서 할 수 있는 오감 놀이로는콩, 쌀, 옥수수로 활동할 수 있는 곡물놀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는 밀가루 반죽놀이와,모래 놀이, 미역 놀이 등이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 큰 뽀드락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몇 살 정도 됐을까요? 면역력이 약한 아기에게 함부로 연고나 약을 바르지는 않아야 할 것 같아요. 심하게 부었거나, 아이의 컨디션이 안 좋다면, 가까운 병원에 가서 진료를 보고 약을 처방 받아서 바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놀이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에게 가족중심의 개념을 강요를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을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가족의 행사, 즉 조부모님의 생신 등은 꼭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가족이 놀러 갈 땐 부모님이 일방적으로 정하기 보다는 아이들과 함께 짜 보는 것도 아이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701
702
703
704
7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