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기존 자기 공명 방식과 어떻게 차별화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기존 자기공명방식은 송수신 코일간의 공진을 활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로 거리에 따른 효율저하나, 전자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만약 자유전자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특정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면, 기존의 자기 공명방식보다 혁신적인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이동중에도 충전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위성에서 지구로 전력을 직접 전송하는 기술이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Q. 전자기기에서 전자기 호환성을 확보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전자기 호환성을 확보하려면 전자기 방출을 줄이고, 전자기 감수성을 높이는 설계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차폐, 필터링, 접지, 회로 설계 최적화, 노이즈 억제 부품 등의 방법이 활용됩니다.
Q. 반도체의 트랜지스터는 머리가락보다 얼마나 더 작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현재 가장 작다고 해도 무방한 3나노 공정의 트랜지스터는 머리카락보다 약 16,000~33,000배 작습니다.지금의 트랜지스터는 현미경으로도 보이지 않을정도로 초미세 구조입니다. 그 작은 공간에 수십억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어넣어 우리가 쓰는 스마트폰, 컴퓨터, 게임기가 작동하게됩니다
Q. 양자컴퓨터의 보급은 언제쯤 이루워질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양자컴퓨터는 2030년대 중반 이후 실직적인 보급이 예상되고있습니다.현재는 IBM,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클라우드 양자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제한적을 활용할 수 있지만, 2040년 이후엔 일반인들에게도 보급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보안이나 신약개발, 금융, AI, 블록체인등에도 많은 영향을 끼칠것이라고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