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터넷 속도를 빠르게 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요금제 변겅 외에도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우선 더 빠른 요금제로 변경하면 그만큼 빠른 인터넷 속도를 제공 받을 수 있지만, 요금제를 바꿔도 실제 속도는 사용자의 인터넷 회선 상태나 장비 성능에 따라 달리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광랜 회선을 사용하는 경우 더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지만, 오래된 ADSL이나 VDSL 회선을 사용중이라면 요금제만 바꿔도 속도가 크게 달라지지 않을수 있습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한다면 라우터의 성능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최신 와이파이 6 라우터는 더 빠르고 안정적인 속도를 제공합니다. 또한 라우터의 위치도 중요한데요. 벽에 가려지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에 두면 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습니다. 고속 인터넷을 지원하는 cat 5e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하는것이 좋으며 너무 오래된 케이블은 교체하는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문제가 있거나 트래픽이 많은 시간대라면 속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그런 경우에는 ISP에 문의하거나 다른 서비스로 변경을 고려해 볼 수도 있겠습니다
Q. 이차전지 기업들의 기술력은 뛰어난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이차전지 기업들의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매우 뛰어난 수준입니다. 특히 에너지솔루션, 삼성 sdi, sk이노베이션과 같은 대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큰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전 세계 배터리 시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ESS, 모바일 기기 배터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배터리 기술이라는게 딱 하나로 정해진 기술이 아니라 다양한 기술의 접합체이기에 등수를 나누거나 순위를 매기긴 힘들지만 우리나라 이차전지 기업들의 기술력은 손에 꼽을 정도로 경쟁력이 있습니다
Q. 드론으로 전달 되는 전파는 몇킬로까지 가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드론에서 조종기와 드론사이에 오가는 전파는 사용되는 통신방식, 전파 출럭, 안테나 성능, 주변 환경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 취미용 소형 드론은 100미터 정도까지 안정적으로 조종이 가능하며, 상업용 드론은 전파성능이 좋아 10km 이상까지 조종이 가능한 것도 있습니다. 특히 gps와 영상 전송 기술까지 포함 도니느 경우에는 몇 킬로미터 떨어진 거리에서도 조종하고 실시간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Q. 파이썬을 배워야 IT의 기초라고 할 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파이썬은 비교적 쉬워서 처음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사람에게 잘 맞는 언어이긴합니다. 그래서 기초를 다지기 좋은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IT라고 해도 분야가 워낙 다양하기에 파이썬 하나만으로 전부 커버가 되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개념을 익히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웹개발, 자동화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쓰이기 때문에 배워두면 활용할 곳이 많고 실무에서도 자주 쓰여요, 처음에 어려운 언어보다 파이썬처럼 쉽게 시작할수 있는 언어로 입문하시면 전체 흐름을 이해하는데 훨씬 수월할것으로 생각됩니다
Q. 무선 충전기는 어떻게 선없이 전기를 전달하죠?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무선충전기는 전기를 직접 전달하는 게 아니라 자기장을 이용해서 에너지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충전기 내부에 코일이 있고, 이 코일에 전기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기는데, 이 자기장이 스마트폰 안에 있는 또 다른 코일에 닿으면 다시 전기로 바뀌어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유도 전자기 방식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공기중으로 전기가 흘러들어가는것이 아니고, 가까운 거리에서 자기장을 통해 에너지를 주고받는거라 충전기 위에 정확히 올려놔야 충전이 잘 됩니다.
Q. 알고리즘은 누가 정하는건가요? 개발자가 정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알고리즘은 주로 개발자나 연구자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설계하고 만듭니다. 어떤 문제를 어떻게 풀지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고 정확한 방법을 고민하면서 알고리즘을 정하게 되죠, 정해진 기준이 딱 있는건 아니고, 상황이나 여러가지 방식이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검색할 때 빠르게 찾는 방법, 데이터를 정리하는 방법 등 다양한 상황에서 각각에 맞는 알고리즘이 개발됩니다. 그래서 알고리즘은 누가 정해주는게 아니라,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 개발자가 고민하고 만들어 낸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