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반도체라는 기술과 학문이 왜 빛과 매우 연관이 있고 핵심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반도체가 빛과 연관이 깊은 이유는 반도체가 빛을 만들기도 하고, 감지하기도 하고, 빛의 영향을 받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쓰는 스마트폰 화면, 카메라, 태양광 패널 같은 것들도 전부 반도체와 빛이 연결된 기술입니다. 반도체는 전기를 흐르게도 하고 차단하는 설질이 있어서 아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여기에 빛이 닿으면 전기가 흐르거나 멈추는 방식으로 반응을 합니다. 그래서 빛을 이용해서 정보를 주고받거나, 저장하거나 센서로 쓰는 기술들이 다 반도체와 연결됩니다. 또 반도체를 더 빠르고 작게 만들기 위해서도 빛을 아주 정밀하게 다루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반도체를 제대로 이해하고 발전시키려면 빛, 특히 광자같은 개념을 공부한느게 꼭 필요합니다.
Q. 원격접속으로 증강현실 헤드셋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증강현실 헤드셋을 원격으로 완전히 조작하는 건 아직 기술적으로 쉽지 않은 부분이 많습니다. 홀로렌즈나 매직리프 같은 기기는 사용자 눈 앞의 실제 공간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화면을 원격으로 보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으로 기본적인 조작은 가능할 수도 있지만, 손 동작이나 위치 기능까지 완전히 제어하려면 별도의 전용 솔루션이나 앱 개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홀로렌즈에 원격 지원기능이 있는 Dynamics 365 Assit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긴 하지만, 이것도 실제로 쓰는 사람의 시야를 공유하는 형태라 조작 중심의 원격 제어는 아닙니다. 결국 완전히 내가 쓰는 것처럼 원격에서 증강현실 콘텐츠를 조작하고 싶다면, 해당 기능을 포함한 별도의 앱을 개발하거나, 실제 헤드셋이 설치된 공간에 있는 사람과 협업하는 형태로 접근하는 게 현실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