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화이자 1,2차 다 맞았는데 꼭 부스터샷을 맞아야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백신을 접종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항체 형성을 통하여 코로나의 감염을 예방을 할려고 하는데, 문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항체의 농도가 감소하여 보통 6개월 이후에는 감염 예방 효과가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항체 생성을 늘리기 위해서 부스터샷을 2차접종 완료 후 4개월(60세 이상) 또는 5개월(18-49세, 50세 이상) 후에 접종합니다. 부스터샷에 따른 부작용의 경우 기본 접종과 같은 백신을 사용하므로 기본 접종 때와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의 부작용이 나타날 것이라 예상됩니다.현재까지 코로나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마스크 착용, 개인위생 관리 뿐만 아니라 백신의 접종이고, 백신의 접종은 감염된 환자의 중증 이환율 및 사망률을 낮춰 주기 때문에 필수사항으로 정해진건 아니지만 가능하면 부스터샷 접종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계속해서 방역패스의 적용이 확대되어 미접종자가 이용할 수없는 다중이용시설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고, 방역패스는 기본 접종 완료 후 6개월까지 유효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백신 부스터 맞으라고 하던데 맞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백신을 접종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항체 형성을 통하여 코로나의 감염을 예방을 할려고 하는데, 문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항체의 농도가 감소하여 보통 6개월 이후에는 감염 예방 효과가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항체 생성을 늘리기 위해서 부스터샷을 2차접종 완료 후 4개월(60세 이상) 또는 5개월(18-49세, 50세 이상) 후에 접종합니다.현재까지 코로나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마스크 착용, 개인위생 관리 뿐만 아니라 백신의 접종이고, 백신의 접종은 감염된 환자의 중증 이환율 및 사망률을 낮춰 주기 때문에 필수사항으로 정해진건 아니지만 가능하면 부스터샷 접종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계속해서 방역패스의 적용이 확대되어 미접종자가 이용할 수없는 다중이용시설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고, 방역패스는 기본 접종 완료 후 6개월까지 유효합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현재 백신이 요즘 유행하는 오미크론을 방어해줄까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아직까지는 오미크론에 대한 백신의 방어 효과가 어느 정도일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전 세계 과학자들이 현재 연구 중이며 빠른시일 내에 관련된 결과가 나올 것으로 생각됩니다.오미크론이 델타에 비하여 2배 정도 변이가 발생하면서 백신의 면역 효과를 회피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된다고 하지만, 백신의 접종은 감염된 사람들의 중증 이환율 및 사망율을 크게 낮추는 데 기여하므로 가능하면 부스터샷을 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백신접종후 소염진통제 먹어도돼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가능하면 백신 접종 후 두통, 발열, 몸살, 근육통 등의 증상이 있다면 해열, 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을 우선 복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른 소염, 해열, 진통제인 NSAIDs 계열의 약들은 면역 반응을 저해하여 항체 생성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는 것을 권고합니다.하지만 아세트아미노펜의 효과가 미미하거나,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할 상황이 안된다면 NSAIDs 계열에 속하는 성분들,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의 성분을 복용하셔도 되겠습니다. 집에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약이 있다면 그것을 우선적으로 복용하시고, 만약 없다면 치과 진료 후 받은 소염, 진통제를 복용하셔도 되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