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화이자 2차 접종 후 이상반응 있을 때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화이자 백신의 경우 심낭염, 심근염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고, 가슴 통증, 두근거림,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꼭 병원에 방문하시어 의사의 진료 후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3차 부스터샷 꼭 맞아야 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백신을 접종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항체 형성을 통하여 코로나의 감염을 예방을 할려고 하는데, 문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항체의 농도가 감소하여 보통 6개월 이후에는 감염 예방 효과가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항체 생성을 늘리기 위해서 부스터샷을 2차접종 완료 후 4개월(60세 이상) 또는 5개월(18-49세, 50세 이상) 후에 접종합니다.현재까지 코로나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마스크 착용, 개인위생 관리 뿐만 아니라 백신의 접종이고, 백신의 접종은 감염된 환자의 중증 이환율 및 사망률을 낮춰 주기 때문에 필수사항으로 정해진건 아니지만 가능하면 부스터샷 접종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계속해서 방역패스의 적용이 확대되어 미접종자가 이용할 수없는 다중이용시설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고, 방역패스는 기본 접종 완료 후 6개월까지 유효합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오미크론의 위험성은 어느정도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오미크론은 남아공에서 발견되었으며, 50개 이상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중 32개가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몸속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인 스파이크 단백질에 몰려 있어, 스파이크 단백질에 16개 변이가 일어난 델타변이에 비하여 2배 더 많은 변이가 일어났습니다.델타는 환자의 맥박을 빠르게 하고, 산소포화도를 떨어트려 후각과 미각을 마비시키는 특성이 있었지만, 오미크론 감염 환자에게는 그런 증상이 없었고, 대신 피로감, 두통, 근육통, 목 따가움, 기침 등 비교적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전염력이 더 높다고 판단되고 있으며 오미크론에 의한 돌파감염도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기는 합니다.오미크론에 대한 백신의 효과 정도 및 전염력, 치사율 등은 아직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향후 2주안에 관련 연구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변종을 거듭할 수록 전염력은 높아지지만 덜 치명적이게 되는 등 대부분의 호흡기 질환이 진화하는 방식과 유사하여 감기처럼 가벼운 바이러스가 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으며, 오미크론에 대한 백신의 감염 예방 효과는 낮을 수 있지만, 중증 이환율 및 사망 위험률은 낮춰주기 때문에 백신을 기피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된 의견입니다.답변이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오미크론은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에 비해 사망율이 낮다는데?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오미크론은 남아공에서 발견되었으며, 50개 이상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중 32개가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몸속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인 스파이크 단백질에 몰려 있어, 스파이크 단백질에 16개 변이가 일어난 델타변이에 비하여 2배 더 많은 변이가 일어났습니다.델타는 환자의 맥박을 빠르게 하고, 산소포화도를 떨어트려 후각과 미각을 마비시키는 특성이 있었지만, 오미크론 감염 환자에게는 그런 증상이 없었고, 대신 피로감, 두통, 근육통, 목 따가움, 기침 등 비교적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오미크론의 유전자 분석 결과 감기 바이러스와의 유사성이 발견 되는 등 감기처럼 전염력은 더 높다고 판단되고 있습니다.오미크론에 대한 백신의 효과 정도 및 전염력, 치사율 등은 아직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향후 2주안에 관련 연구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변종을 거듭할 수록 전염력은 높아지지만 덜 치명적이게 되는 등 대부분의 호흡기 질환이 진화하는 방식과 유사하여 감기처럼 가벼운 바이러스가 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코로나 3차 백신 필수일까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백신을 접종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항체 형성을 통하여 코로나의 감염을 예방을 할려고 하는데, 문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항체의 농도가 감소하여 보통 6개월 이후에는 감염 예방 효과가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항체 생성을 늘리기 위해서 부스터샷을 2차접종 완료 후 4개월(60세 이상) 또는 5개월(18-49세, 50세 이상) 후에 접종합니다.현재까지 코로나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마스크 착용, 개인위생 관리 뿐만 아니라 백신의 접종이고, 백신의 접종은 감염된 환자의 중증 이환율 및 사망률을 낮춰 주기 때문에 필수사항으로 정해진건 아니지만 가능하면 부스터샷 접종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계속해서 방역패스의 적용이 확대되어 미접종자가 이용할 수없는 다중이용시설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고, 방역패스는 기본 접종 완료 후 6개월까지 유효합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