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IRP, 연금저축 관련 문의 여쭙니다..
안녕하세요. 정훈용 보험전문가입니다.일단...총소득금액에 따라서 IRP와 연금저축을 한도를 전부 채우더라도 환급금을 뱉어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원천징수영수증을 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이긴한데, 5500만원 미만 소득자라고 생각을 하고 답변 안내드리겠습니다.연금 외 수령시 라고 하면 보통은 중도해지를 하게 되는 경우라고 보면 됩니다. 연금저축의 경우 과세이연과 저율과세의 혜택을 보고, 세액공제를 해주는데 이걸 해지해서 나중에 환급금을 찾고자 하면 기존 세액공제 받았던 부분에 대해서는 토해내는 부분이다보니 기타소득세로 공제를 하는 것입니다. 추후 연금으로 수령을 한다고 하면 연령에 따라서 3.3%-5.5% 공제이니 '연금 수령'을 실행한다라고 치면 혜택이 더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연금저축펀드 그리고 IRP가 Dc형이냐 DB형이냐에 따라 다를텐데요. 기본적으로 연금저축보험과 다르게 연금저축펀드는 펀드에 투자를 하기 때문에 원금손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다면 연금저축보험과는 추후 연금 수령금액이 몇백~ 몇천만원까지 차이가 날 수 있고요. 삼성증권으로 투권인 등록해서 안내를 받고 싶다고 요청을 해주시면 지속적인 펀드관리를 통해서 수익이 날 수 있도록 매수매도타이밍도 안내를 드리고 있습니다.국내상장 ETF 부터 상품군이 너무나 다양하죠. 연금저축펀드의 경우는 주식직접투자가 되지 않습니다. 펀드를 선택하셔야 하고, 안정적인 펀드는 너무나도 많습니다.이율과는 다르게 세액공제 퍼센티지는 소득구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우리은행에서 가입을 한다면,,,,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 등으로 나뉠 수 있고 IRP정도 되겠습니다.연금저축보험의 경우 손해를 보는 경우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공격적인 투자를 하다가 수익률이 녹아내리는 경우는 종종 보기는 했는데, 보수적인 방향으로 5-10%수익나면 매도후 재매수 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시면 연금저축보험보다 더 높은 연금수령을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