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상해보험 가입한 상태에서 직무가 바뀌게 되면 보험사에 연락해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훈용 보험전문가입니다.건설현장직 같은 경우가 대표적으로 3급에 해당하는 직업군이고,회사 사무직의 경우 1급에 해당합니다.1급에서 3급으로 변경되면 당연히 고지를 하셔야 하고 보험료도 변동이 됩니다.사무직인데 예를들어, 직무 인사관리직 에서 감사 뭐 이런식으로 직무가 변경이 되어도 사무직인건 똑같습니다.이런 경우라면 따로 고지를 안하셔도 문제될 게 없는데,사무직에서 직장을 옮기고 보니 현장작업이 있는 관리직으로 이동시에는 2급으로 직군 변동이 생기기 때문에 이 부분을 파악해서 보험사에 고지를 하고 기존 보험료보다 더 납입을 하셔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반대로 3급에서 1급으로 변동이 되면보험료가 낮아져서 일부 환급금이 발생하곤 합니다.
보험설계사 자격증
Q. 1세대실손보험과 4세대실손보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훈용 보험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자기부담금의 차이가 큽니다. 1세대 실비의 경우 5천원만 공제하면 대부분의 의료비를 전액 다 보험금으로 지급이 되는데 4세대 실비는 급여부분 80% 비급여부분 70%보상입니다. 자기부담금이 20% 혹은 30%가량 더 늘어났기에, 로봇수술 같은 비급여 내용이 1천만원 가량 해당이 되면 최소 300만원 가량의 자기부담금이 발생한다고 보면 됩니다. 게다가 갱신 부분에도 많이 다릅니다. 1세대는 병원비를 얼마나 청구하던지같에 평균 손해율을 적용하여 건강한 사람도 아픈사람도 똑같이 갱신됩니다. 4세대실비의 경우는 건강한 사람은 갱신폭이 낮습니다. 다만, 비급여 100/200/300만원 구간을 설정해놓고 300만원 이상의 비급여 보험금 청구금이 넘어가면 3배가량 실비가 인상이 됩니다. 양날의 검 같은 존재입니다.보험료가 부담이되는 입장이라면 1세대 실비를 유지할 수 없어집니다. 지금도 부담이 되는데 시간이 갈수록 1세대 실비는 더 높은 갱신폭으로 갱신이 될 예정으로 해지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올거라 전환을 하는게 유지할 수 있는 방향이라고 생각됩니다.전환을 하면 보험료는 낮아지지만, 청구금액에 따라서 갱신폭이 많이 높아질 수 있는 점을 감안하시면 됩니다.또한 자기부담금의 퍼센트가 많이 달라지오니 이 부분 상기를 해두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