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노안 관련 문의 드립니다? 노안 해결방안에 대하여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원거리 교정안경이 필요 없는 환자는 근거리용 돋보기 안경을 따로 맞추면 되고, 원거리 교정용 안경이 필요한 환자는 원거리와 근거리용 안경을 각각 따로 맞추거나, 이중초점렌즈 또는 다초점렌즈 안경을 맞추면 된다. 노안 교정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을 하게 되는 경우 양안의 도수를 다르게하여 주시안은 원거리, 비주시안은 근거리에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 노안을 교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노안 교정 엑시머 레이져 수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어떤 방법도 완벽한 치료법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를 받는 경우 안과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시행 후 치료 받도록 권유드립니다.출처ㅡ 서울대병원 의학정보
Q. 눈 앞에 파리같은게 보이는 것같아요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나이에 따른 변화나 여러 가지 안과질환에 의해 유리체 내에 혼탁이 생기면, 망막에 그림자를 드리워서 우리가 마치 눈앞에 뭔가가 떠다니는 것처럼 느끼게 됩니다. 이것을 비문증이라고 하며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날파리증이라고도 합니다. 눈 앞에서 어른거려 불편을 느낄 때는 잠시 위를 쳐다봤다가 다시 주시하면 일시적으로 시선에서 없어질 수 있습니다. 일부는 계속 보일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대개는 옅어지고 적응이 됩니다.가장 좋은 해결 방법은 안과의사의 검진을 통해 그 현상이 단순한 비문증이라는 것을 확인한 후, 그 물체를 무시하고 잊어버리는 것입니다. 떠다니는 물체가 숫자나 크기에 있어서 여러 달 동안 변화가 없다면 큰문제는 없습니다.그러나 갑자기 떠다니는 물체가 많아질 때, 빛이 번쩍거릴 때, 또는 눈앞에 무엇이 가리는 것 같은 증상이 느껴질 때는 반드시 안과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Q. 견과류 알러지가 있는데 백신접종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음식이나 햇빛, 꽃가루.특정약물 등에 알레르기가 있다고 해서 백신 접종을 무조건 피할 필요는 없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금기 대상은 백신의 구성 물질에 아나필락시스 같은 중증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이력이 있는 경우, 1차 접종에서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난 경우 등 일부에 해당됩니다. 장세척용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에 쓰이는 성분인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소르베이트에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접종 금기 대상에 포함됩니다. 그밖의 특정 알레르기 반응 환자의 경우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백신 접종을 하면됩니다
Q. 지방종 조직검사를 받고 싶은데 어느 병원을 가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지방종은 시진과 촉진으로 어느 정도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크기, 모양, 위치, 자라는 속도 등이 일반이지 않을 경우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 수술이 계획된 경우 주위 조직과의 관계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상 촬영(초음파, CT, MRI)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진단은 지방종을 수술적으로 절제하며 시행하는 조직 검사를 통하여 가능합니다. 피부과나 외과에서 진단및 치료가 가능합니다.
Q. 눈떨림은 어떤 질병과 연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눈꺼풀 떨림은 피로, 수면부족, 과도한 카페인, 습관, 각막 또는 결막의 자극(특히 속눈썹이나 낭종이 있을 때), 안구건조증, 양쪽 눈꺼풀 경련, 반쪽 얼굴 경련, 백피증, 혈액전해질 이상 또는 빈혈(드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눈꺼풀 떨림이 지속된다면 단순히 안신경 이상인지, 체액불균형인지, 아님 대뇌와 관련된 것인지 병원진료를 보시고감별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Q. 손발이 너무 차가워지는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손발뿐 아니라 몸 전체를 따뜻하게 해야 합니다. 두꺼운 옷 한 벌보다는 느슨한 옷을 여러 겹 입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에 외출할 때에는 모자, 귀마개, 목도리, 따뜻한 양말, 부츠 및 장갑 등을 가능한 모두 사용하여야 한다. 장갑을 끼는 것을 잊지 않기 위해서 문에 여분의 장갑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거리에서 걸을 때에는 햇빛이 비치는 쪽으로 걷도록 하고 집은 언제나 따뜻하게 보온이 되어야 합니다. 세수나 설거지 등을 할 때에는 찬물을 사용하지 말고, 단열이 되는 컵을 사용하며 손발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냉장고에서 음식을 꺼낼 때에는 장갑, 냄비 집게를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