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풍치(치주염)가 있으면 이를 꼭빼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잇몸의 염증이 연조직에 국한되어있는 치주질환의 초기에는 스케일링을 통한 치석제거와 구강위생관리로 회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치주염으로 진행되었을 경우 치근활택술이나 치주소파술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치주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환자는 내려간 잇몸뼈가 재생되는 치료를 받기를 기대하나 잇몸조직이 다시 생성되는 재생수술치료는 극히 아주 제한적인 경우에 있어 가능할 뿐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질환의 진행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늦추는 것이 주요 목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치료의 시기를 놓쳐버려 질환이 심각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남아있는 치조골을 보존하고, 하악관(아래턱에 있는 큰 신경관), 상악동(위턱뼈에 있는 공기 주머니, 감염시 축농증이 발생될 수 있는 부위로 위턱의 어금니들과 가깝다),주변 치아로의 염증 확산을 막기 위하여 치아를 뽑아야합니다. 치료가 불가능한 치아를 그대로 방치하는 것은 앞서 말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치과에서 치아를 뽑자는 진단을 받는 것에 너무 큰 거부감이나 불신감만을 느껴서는 안됩니다.그러나 치주염이 아주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치주치료를 통해 염증을 해소하여 음식을 씹어 먹을 수 있고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출처ㅡ 국가건강정보 포털 의학정보
Q. 화이자 2차백신 텀 길어지면 부작용적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mRNA 백신은 1차 접종보다 2차 때 이상반응 신고율이 높습니다. 화이자 백신 접종 차수별 이상반응 신고율은 1차 0.27%, 2차 0.37%로, 2차가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모더나도 1차에 0.47%가 신고된 반면, 2차 때는 1.98%를 기록해 큰 차이가 났습니다.mRNA 백신이 2차 접종 때 이상반응 신고율이 높은 이유로는 2차 때 추가 면역 반응 급증으로 설명됩니다.구체적으로 1차 때는 mRNA라는 '설계도'를 인체에 주입한다면, 2차 때엔 설계도에 따라 인체 내에서 생성된 항체에 더해 2차 접종 후 항체가 계속 만들어지면서 이상반응이 더 많이 일어날수 있습니다.3주에서6주사이에 이차 접종 시 부작용 차이는 크게 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 백신 맞고 운동은 얼마나 안해야되나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백신 접종후 주의사항으로는. 주사를 맞은 당일, 간단한 샤워는 가능하지만 사우나, 찜질방, 반신욕, 수영은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줍니다. 예방접종 후 1~2일은 음주를 금지하고(금주) 격한 운동은 삼가합니다. 가벼운 운동은 제한이 없고 헬스는 접종당일과 다음날까지 쉬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