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황반변성과 망막색소변성증은 다른 병인가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수정체가 카메라의 렌즈 역할을 한다면 망막은 카메라의 이미지센서 부위라고 볼 수 있는데요, 그 망막에서도 시각세포가 밀집되어 있는 황반은 막막 부위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위로 사람이 나이를 먹으면서 노화에 의해 변성이 오는 질환을 즉 망막변성은 황반변성이라고도 부르게 됩니다.망막변성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없다가 어느 정도 변성이 진행이 될 경우에는 직선이 휘어보인다거나 암점이 생긴다거나 하기 때문에 4-50대 이상의 연령대라면 적어도 1년에 한 번씩은 안과에서 정기검진을 통해 이상유무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입니다.위의 망막변성과 달리 눈에 빛이 들어오게 되면 눈 앞에 사물의 상이 망막의 중심에 맺히게 되는데 이 신호를 뇌로 전달해 주는 광수용체에 유전자 이상으로 인한 기능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질환들을 일컬어 망막색소변성증이라고 하는데 보통은 망막색소변성증 자체를 완벽하게 치료하기는 어렵고 질환이 진행되는 속도를 줄여주거나, 이 질환으로 야기되는 여러 합병증 등이 생길 때 치료를 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망막색소변성증은 유전성질환이기 때문에 보통은 태어나면서 유전적으로 진행이 되는데, 대표적인 증상으로 시야가 좁아보이는 협착증상 내지는 어두운 곳에서 잘 안보이게 되는 야맹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데 그 시기를 보면 20대 전후나 40대 이후 진단되는 사례가 보통입니다.망막색소변성증 유무를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영상학적검사와 기능검사 및 유전자검사 등을 종합하여 판단하게 되는데 검사 후에 이상 유무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추후 발병될 가능성은 지극히 낮습니다.
Q.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이 한번에 찾아오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상기 질환을 유발하는 생활습관적인 요인이 비슷하기 때문 입니다. 대사 증후군이라고 하는데, 이를 유발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교정이 가능한 요인인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건강한 식이를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대사 증후군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칼로리가 높은 음식은 피하고 신선한 채소와 과일, 식이섬유 등의 섭취를 늘리고, 저염식으로 규칙적으로 식사하고 운동도 주기적으로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