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변성과 망막색소변성증은 다른 병인가요?
위 질문 제목과 같이 황반변성과 망막색소변성증은 다른 병인가요? 제가 망막색소변성증 판정을 받았는데 대학병원에는 특별한 치료는 없이 년마다 검사 및 증상만 확인해주네요. 혹시 증상을 늦쳐주는 주사나 약이 있을까요?
아니면 망막색소변성에 도움이 되는 음식 및 영양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수정체가 카메라의 렌즈 역할을 한다면 망막은 카메라의 이미지센서 부위라고 볼 수 있는데요, 그 망막에서도 시각세포가 밀집되어 있는 황반은 막막 부위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위로 사람이 나이를 먹으면서 노화에 의해 변성이 오는 질환을 즉 망막변성은 황반변성이라고도 부르게 됩니다.
망막변성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없다가 어느 정도 변성이 진행이 될 경우에는 직선이 휘어보인다거나 암점이 생긴다거나 하기 때문에 4-50대 이상의 연령대라면 적어도 1년에 한 번씩은 안과에서 정기검진을 통해 이상유무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입니다.
위의 망막변성과 달리 눈에 빛이 들어오게 되면 눈 앞에 사물의 상이 망막의 중심에 맺히게 되는데 이 신호를 뇌로 전달해 주는 광수용체에 유전자 이상으로 인한 기능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질환들을 일컬어 망막색소변성증이라고 하는데 보통은 망막색소변성증 자체를 완벽하게 치료하기는 어렵고 질환이 진행되는 속도를 줄여주거나, 이 질환으로 야기되는 여러 합병증 등이 생길 때 치료를 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망막색소변성증은 유전성질환이기 때문에 보통은 태어나면서 유전적으로 진행이 되는데, 대표적인 증상으로 시야가 좁아보이는 협착증상 내지는 어두운 곳에서 잘 안보이게 되는 야맹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데 그 시기를 보면 20대 전후나 40대 이후 진단되는 사례가 보통입니다.
망막색소변성증 유무를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영상학적검사와 기능검사 및 유전자검사 등을 종합하여 판단하게 되는데 검사 후에 이상 유무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추후 발병될 가능성은 지극히 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