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차하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차하린 전문가입니다.
차하린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2년 9월 20일 작성 됨
Q.
미국의 팁문화는 어떻게 만들어 졌나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은 말씀대로 팁문화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자본주의 원리가 반영되어 있는 것입니다. 자신이 더 친절하게 손님을 맞이하고 일한 만큼 팁이라는 것을 통해서 돈을 더 받는 시스템인 것입니다. 또한 미국은 개인주의 성향이 매우 강한 문화이기 때문에 팁문화가 없다면 친절한 이유가 없게 됩니다. 결국 미국의 팁문화는 미국의 자본주의와 개인주의가 결합하여 생긴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역사
2022년 9월 19일 작성 됨
Q.
김삿갓은 실제 인물인가요? 실제 살았던 사람이라면 어떤 사람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삿갓은 실제 인물입니다. 본명은 김병연이고 방랑시인으로 알려저 있습니다. 김삿갓은 홍경래의 난 때 군수였던 할아버지가 싸우지 않고 항복해서 역적으로 몰린 가문의 자식이었는데요. 그것도 모르고 과거시험에서 할아버지를 비난하는 시를 쓰게 되죠. 그리고 나중에 그 사실을 알고 삿갓을 쓰고 방랑시인의 길을 걷게 됩니다.
역사
2022년 9월 19일 작성 됨
Q.
조카가 추석때 절을 하겠다면 때를 쓰는데....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배의 기원은 하늘의 신에게 무사고를 기원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는데요. 이것이 변하여 어른에게 존경심을 나타내는 세배로 발전했습니다. 설날 세배는 새해를 맞이하여 새출발을 다짐하는 뜻이 담겨 있고 어른께 절을 올리며 간절한 축원을 담습니다. 그래서 1년의 첫 날인 설에 세배를 하게 되고 추석은 연중에 있는 명절이라서 간단히 인사를 하게 됩니다.
음악
2022년 9월 19일 작성 됨
Q.
바이올린 사이즈가 어떻게 이루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이올린 사이즈는 다양한데요. 성인을 위한 가장 큰 사이즈인 4/4부터해서 3/4, 1/2, 1/4, 1/8, 1/16 사이즈가 있습니다. 보통은 배우는 사람의 키에 따라서 사이즈를 정하게 되는데요. 키 110~115 이면 1/8 (만4-6세)키 115~125 이면 1/4 (만5-7세)키 125~135 이면 1/2 (만7-9세)키 135~145 이면 3/4 (만9-12세)키 145 이상이면 4/4 (만11세 이상)입니다.
미술
2022년 9월 18일 작성 됨
Q.
AI가 그린 그림을 예술작품으로 볼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AI가 그린 그림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지 논의가 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AI가 그린 작품은 예술작품으로 보기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술이라는 것은 그 시대의 시대성과 문화를 반영하고 개인의 가칙관이 반영되어야 하는데 AI는 그러한 요소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I가 그린 그림은 하나의 상품으로는 존재할 수 있으나 예술작품이라고 불리기는 힘들지 않을가 싶습니다.
미술
2022년 9월 18일 작성 됨
Q.
예술작품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는가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명한 작품들의 경우는 보통 경매를 통하여 가격이 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매를 할 때는 작품의 희소성과 작가의 명성에 따라 가격이 불러지는데요. 최근에 거래된 비슷한 명성의 작품과 작가의 가격을 참고로 하여 경매가 진행되게 됩니다. 다만, 경매라는 방식 때문에 누가 경매에 참여하고 있는지에 따라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역사
2022년 9월 17일 작성 됨
Q.
옛날에는 남자도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 긴머리를 어떻게 관리한거죠??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자료를 보면 아예 머리를 자르지 않았던 것은 아닌데요. 정수리 부분인 속알머리를 잘라내고 주변머리를 그 가운데로 올려서 상투를 틀었던 것으로 확인이 됩니다. 즉, 머리카락이 전부 장발인 장발머리는 아니였고 정수리 부분은 잘라내면서 관리를 하고 그 자리에 주변 머리를 올려서 상투를 틀고 관리를 했었던 것으로 파악이 됩니다.
역사
2022년 9월 17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양반들은 무엇으로 돈을 벌었죠?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양반들은 중소 지주로서 이미 경제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던 상황입니다. 따라서 소작농을 부려 일을 시켰기 때문에 직접 농사를 하지는 않았을 것 같고 지주이기 때문에 삶이 풍요로웠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흉년이 들 경우는 양반들도 피해갈 수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관직에 나간 양반들은 나라의 녹이 주요 수입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술
2022년 9월 17일 작성 됨
Q.
익산 미륵사지 석탑 층수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륵사지 석탑은 현재 남아 있는 층수는 6층인데요. 현재 보수중에 있습니다. 전체 층수는 한때 7층이라고 했으나 주변에서 노반이 발견되어 실제 층수는 9층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1915년 석재가 무너졌을 때 콘크리트로 긴급수리를 해서 80년 동안 콘크리트에 붙어 있었는데요. 지금은 다시 복원을 했습니다.
미술
2022년 9월 15일 작성 됨
Q.
가을 하늘은 왜 높고 푸른가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늘이 높게 보이는 것은 빛의 산란이 적기 때문인데요.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되면 시베리아의 공기가 한국으로 오게 되는데요. 공기 중에 먼지가 적어서 빛의 산란이 적기 때문에 같은 하늘이더라도 높게 보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파란 하늘도 빛의 산란 때문인데요. 공기 중에 입자가 큰 먼지가 많으면 뿌옇게 보이고 입자가 큰 먼지가 적으면 더 푸르게 보입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