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전문가입니다.
채지훈 전문가
Kwangchonkim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출산율이 날로 낮아지고 있는 와중에 육아용품의 성장성은 어떻게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저출산 국가이지만 아이들에게만큼은 좋은 음식 좋은옷 무해한 장난감들 좋은것만 주려는 부모의 마음으로 상당히 고가의 물건임에도 아이를 위해서라면 응당 해주고싶은 마음이고 근세자라면서 필요없는것도 나눠쓰고 다시 쓰기보다 새로운것만 찾기때문에 저출산임에도 성장할수있으며 중국의 산아제한정책의 변경되면 한몫할것임에는 분명합니다.한국산에 대한 수요가 특히 기저귀.분유와같은 없어서는 안되는 아이의 성장에도 영향을 끼치는 물품들은 자국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물류비측면에서나 안전성측면에서 뛰어난 한국산에 대한 수요는 늘어날것으로 보입니다.
대출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금리 이상은 부동산시장을 왜 힘들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인상시 부동산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높은금리로 대출받아 부동산을 구매하고싶은 사람은 없을테니 수요가 따르지 않습니다. 또한 건설사는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높은금리로대출받아 신규건설의 수익성을 떨어뜨립니다.굼리인상의 수혜혜택은 금융기관과 외국인투자가 채권투자자등이 수혜를 입을수있고 일반서민들은 큰돈이 없기 때문에 소비를 줄이려할것이며 부동산도 낮은가격으로 수요가 몰리겠지요.경기둔화를 맞는 악순환이 이어지겠네요그렇다고 한국이 기축 통화국도 아니라서 금리조절을 대외상황과 무관하게 맘대로 펼칠수도 없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선주를 발행하는 이유는 보통주에 비해 이익을,잔여재산의 분배,배당이 높지만 주주총회에서 의결권행사를 할수없게 자금조달의 목적으로써 경영권을 보호하고 주식발행으로 이자납입이나 부채가 상승하지않는 재무상태를 가져가기위함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정치 발전이 경제 성장에 도움이 크나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몇년전까지만해도 세계화가 되어야한다 자유무역협정을 더욱 늘리고 미래를 준비해야한다 각국은 보호무역을 탈피하고 무한경쟁해야한다 경제는 시장에 맡겨야한다 라는 듣기좋은말들이 전문가들 의견으로 쏟아져 나올때가 있었습니다.하지만 코로나19의 펜더믹상황에서 일북국가는 정부의 개입으로 인위적 자원수출금지와 여행수요억제등의 정책으로 경제의밑바탕을 관광과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들에게 어려움을 가중시켰습니다.경제규모가 클수록 정치가 발전하고 정치가 발전할수록 경제가 나아진다는 속설이 있습니다.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보자면 우리국민들이 느끼는 정치발전은 멀게만 느꺼지실것 같습니다.정치가 경제규모를 못따라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수도 있을것입니다. 하지만 반세기만에 전쟁과 빈곤속에서 눈부신경제발전을 이룩한데에는 독재정권시절의 경제정책과 그 과정중에서도 독재를 허용하지않겠다는 국민의 열망과 지난 과거속에서 억압되어왔던 민족성이 변화무쌍한 정치와 경제상황을 발전한방향으로 이끌었던것 같습니다.결국 정치든 경제든 발전하려면 국민의 교육열기와 근성에서 비롯되어 발전하고 깨우치는것이라 생각됩니다. 역사가 계속 찬란하게만 도래되는것도 아니고 멈출때는 시련도 있고 그후에 발전하는것같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왜 주휴수당을 폐지한다고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전 정부와 현재정부가 인식하는 경제정책은 다른것 같습니다.사업주의 관점에서는 하루를 그냥 무노동했는데 돈을 지급한다는 생각이고 노동자입장에서는 폐지가 되면 실질적 한달에 반영된 월급수령시 상당한 마이너스로 느껴지니 민주.한국노총의 반발이 심할것이고 만약 국회표결을 한다면 현재여당의 의석수로는 통과하지 못할것입니다. 고위정부관료들이 어느관점에서서 귀를 기울이고 사회에 미칠 파장과 서민경제의 영향에 끼칠 긍정적인면이 폐지가 더 났다면 밀고가겠지만 입법통과가 되면 그 반발은상당할것이라 여겨집니다.개인적인생각엔 실질임금하락에 따른 보상을 어떻게 해주느냐가 관건인것같습니다
221
222
223
224
2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