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정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수 전문가입니다.
최정수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약·영양제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백신은 맞아도 걸리나요 불안해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접종을 해도 감염이 가능합니다. 백신을 맞았다고 해서 100% 항체가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항체가 있다고 해도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은 막을수도 있지만 막지 못할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백신 접종을 하고 감염이 된다면 중증도가 많이 낮아지기 때문에 접종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감염으로 생기는 증상이 심하지 않게 됩니다. 이런 장점 때문에 백신을 계속 권장하고 있는 것 입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서 백신 접종을 하셨다고 해도 마스크를 쓰는 것이 지금은 가장 안전한 대처방법입니다. 현재 델타변이 바이러스의 돌파감염이 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접종을 하셨다고 해도 감염이 될 수 있어 마스크를 쓰시고 생활하셔야 좀 더 확실한 감염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코로나19백신과 독감백신 차이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독감 백신도 접종을 해도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독감백신도 중증도를 많이 낮춰주는 효과가 있고 확실한 치료제가 있기 때문에 독감 접종을 많이 권장하지만 맞지 않아도 치료제로 치료가 가능한 점이 다릅니다. 코로나 치료제도 곧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코로나 19 백신 꼭 맞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결정은 본인이 하셔야 합니다만 백신의 경우 중증도를 낮추는 효과가 분명히 있습니다. 또한 이상반응도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두가지 중 어느 것을 더 중점적으로 생각하시느냐에 따라 맞으시는 거라 생각하면 됩니다. 강제성이 있지는 않으나 맞길 권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백신주사 어느게 더 나은가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화이자와 모더나는 둘다 mRNA 백신으로 같은 종류의 백신이라고 보시면 되며, 다만 후보물질이 다른 종류의 mRNA 백신으로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크게 mRNA 백신으로 같은 것으로 보시면 편합니다. 다만 후보물질이 달랐기 때문에 효과와 부작용 면에서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모더나가 화이자보다 이상반응이 많은 것으로 초기에 보고가 되었고 mRNA 백신은 항체 생성률이 높은데 모더나가 화이자보다 항체형성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것이 있습니다. 둘다 좋은 백신이고 (mRNA 백신이므로) 무엇이 더 좋다고 얘기하기는 어렵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벡터백신입니다. 8~12주 간격으로 2회 접종을 하는 백신이며 항체생성률은 mRNA백신인 화이자, 모더나 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5% - 70% 정도)
신경과·신경외과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오한과 근육통증이 계속됩니다.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아야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타이레놀 복용은 잘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타이레놀로 충분한 효과가 없다고 생각되시면 수액을 맞아서 컨디션을 끌어올리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한달안에 좋아지는 증상들이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최대 두달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는 점만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오미크론이 치명적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현재 치명률이 어느정도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으나 남아공에서 오미크론 환자를 보고 있는 의료진 정보에 의하면 대부분 중증으로 발전되지 않고 산소치료만으로 충분한 회복양상으로 보였다고 하여 감기정도일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고 전파속도가 워낙 빠르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한 고령이 걸리게 되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청소년 코로나 백신 안전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결정하기 어려울 실 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결정은 보호자와 학생이 해야되는 부분입니다. 접종을 했을 때 이득은 분명 있습니다만 이상반응으로 인한 문제가 걱정이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따라서 득과 실을 잘 따져보시고 결정을 하셔야 합니다. 너무 걱정이 되시면 어느정도 주변 추이를 보고 결정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비인후과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목이 가렵고 기침이 나는데 오미크론 증상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단순 기침만으로는 코로나 감염일 가능성은 적습니다. 또한 미열이 정확히 어느정도인지 체크를 해봐야되며 37.5도 이상의 열이라면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증상이 덜 치명적으로 나타날 수는 있기 때문에 열이 없어도 선별검사를 받아보는게 안전합니다.
이비인후과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오미크론 확산과 증증에 대한생각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현재 치명률이 어느정도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으나 남아공에서 오미크론 환자를 보고 있는 의료진 정보에 의하면 대부분 중증으로 발전되지 않고 산소치료만으로 충분한 회복양상으로 보였다고 하여 감기정도일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는 것 입니다.확산이 잘 되는 것은 바이러스의 변이때문일 수도 있으며 중증도가 떨어지면 바이러스가 숙주에서 다른 숙주로 이동할 시간적 여유가 많기 때문에 중증도가 낮을수록 병의 전파는 더 잘 되게 됩니다.
이비인후과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오미크론 증상 경증으로 걱정안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현재 치명률이 어느정도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으나 남아공에서 오미크론 환자를 보고 있는 의료진 정보에 의하면 대부분 중증으로 발전되지 않고 산소치료만으로 충분한 회복양상으로 보였다고 하여 감기정도일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는 것 입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