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정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수 전문가입니다.
최정수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약·영양제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코로나는 나이가 든 사람에게 치명적인가여?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아무래도 나이가 있는 분들이 기저질환을 갖고 있을 확률이 더 크고 기저질환이 없더라도 고령 자체가 하나의 기저질환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몸의 방어기전이 많이 떨어져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를 줄이기 위해 고령부터 접종을 하게 된 것 입니다.
정형외과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모더나 부스터샷을위후 디스크가 제발?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모더나 부스터샷으로 인해 디스크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 디스크의 돌출은 자세나 노화의 영향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부스터샷을 맞아서 백신의 영향으로 디스크가 돌출됐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비인후과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기침이 한 달째 납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단순 기침만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2주째에 음성이 나왔으면 추가적인 검사를 받으실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침을 유발하는 질환은 여러가지 이기 때문에 코로나 외에 다른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보시는게 더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코로나 걸리면 운동하는 사람한테 지장이 클까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백신을 맞았다고 해서 마스크를 벗는 행위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백신을 맞아도 돌파감염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감염시 폐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폐기능 저하가 생기면 원상태로 회복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 운동선수의 경우 코로나 감염시 치명적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감염이 되었다고 해서 운동을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초등생 백신 맞아도 되나여? 걱정입니다.ㅜㅜ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명확하게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백신 접종을 했을 때 중증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접종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며 개인적으로 어떤 강제성을 띄고 접종을 하라고 하는 상황이 옳지 않아보입니다. 그리고 접종은 개인이 결정해야되는 부분이 있으며 그것에 대해 의료진이 명확하게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맞으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시원한 답변을 해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오미크론의 정확한 정의가 뭐예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기본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변이가 이루어진 바이러스들을 그리스 알파벳 순으로 명명을 하고 있고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등등 이름이 붙여지고 있으며 코로나 바이러스 모양에 맞춰서 하는 것은 아닙니다. 변이가 확인된 순서대로 알파벳을 맞춰 명명하고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화이자 접종후 주사맞은 어깨가 뻐근해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8월 접종 후 아직까지 통증이 있다면 다른 원인도 찾아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접종 후 주사부위 근육통은 한달안에 좋아지는게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코로나19 3차예방접종을 꼭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부스터샷에 강제성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일정한 항체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부스터샷이 필요한 상황이며 중증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기침과 콧물 증상만 있어도 코로나 감염 가능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현재로써는 코로나 선제검사를 통해 코로나 감염이 아닌지 확인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단순 기침, 콧물로 코로나일 가능성이 크지 않지만 안전을 위해 해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2월 4일 작성 됨
Q.
구운고기, 발암물질을 유발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직화구이는 간접적으로 구운 고기든 열을 가해지게 되면 발암물질이 됩니다. 당연히 구운 것보단 삶은 고기가 좀 더 건강한 고기입니다. 이를 먹는다고 해서 무조건 암이 생기는 것은 아니긴 합니다만 자주 노출되게 되면 영향이 있을 수는 있습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