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기후변화에대해앞으로세계는어찌변할거같아요?
기후변화는 더이상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도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죠~앞으로 여러 예측 보고서에 의하면 2100년가지 평균 4.4도이상 상승한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폭염/한파가 증가하고 강수 패턴의 변화나 해수면의 상승, 계쩔변화등의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탄소 중립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등의 행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진이나 기후변화는 직접적인 연관 관계까 없다고알려져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심해 탐사는 어느 정도의 깊이까지 진행이 되었나요?
심해란 일반적으로 수심 200m이하로 정의하며 수심 6000m이하는 초심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가장 깊게 탐험한 곳은 10,984m의 마리아나 해구의 챌린져 심연입니다.심해의 경우 고압이고 햇빛이 닿지 않아 어두우며 이에 따라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여 탐사가 어렵지요~ 심해 탐사는 기후연구나 새로운 생명체의 발견, 자원개발, 지질연구 등의 목적으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ㅅ브니다. Seabed 2030 프로젝트를 통하여 유엔 산하의 국제해양기구에선 전 지구 해저지도를 완성하고자 노력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에 대한 탐사는 이미 완료된 상태인가요?
달에 대한 탐사는 완료된 상태가 아니며 지금 더욱 더 열심히 진행중입니다. 1969~1972년 아폴로 프로젝트로 시작된 달 탐사는 2000년대 이후 다시 호라발히 시작되었꼬 자원탐사나 유인 기지의 후보지, 과학적인 연구 등의 목적으로 달을 다시 탐사하기 시작하였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자전과 공전속도는 항상 일정할까요?
지구는 자전과 공전을 하지만 그 속도가 완전히 일정하지는 않지요~ 실제로 아주 조금씩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엔 자연적, 천체역학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된답니다~ 자전속도의 경우 달에 의한 조석마찰로 조금씩 느려지는 효과가 있으며(100년마다 1.7밀리초정도 늘어난다고 알려져 있음), 지각과 대기의 변화, 빙하와 극지방의 질량분포에 의해서 미세하게 달라지고 있따고 알려져 잇습니다.공전속도의 경우 지구가 타원의 형태로 공전을 하기에 지속적으로 변화가 생기게 되고 행성간에 중력에 영향을 받으면서 섭동효과에 의해 장기적으로 교란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매우 느리기에 우리는 체감할수가 없는 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에서 블랙홀을 어떻게 관측가능한걸까요?
블랙홀은 중력이 너무 강하기에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천체이죠~ 그렇기에 직접적인 관측이 불가능하며 이를 관측하는 법은 간접적으로 확인해야 하는데, 별의 움직임을 관찰하거나 X선 방출을 관측하거나 중력렌즈 효과를 바라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별의 움직임은 블랙홀 근처에서 이상하게 회전하거나 끌려가는 궤도가 나타나죠. 또한 블랙홀 주변의 강착원반에선 물질이 빨려 들어가며 엄청난 열과 X선을 방출하게 됩니다. 블랙홀 근처를 지나간 빛이 휘어지는 중력렌즈 효과도 발생하게 되지요. 이러한 것들을 종합하여 세계의 여러 전파망원경이 연결된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에서 2019년 M87 은하 중심의 초거대질량 블랙홀의 그림자를 촬영하게 되었답니다.
1611621631641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