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심해어가 잡히면 지진 전조 증상일 수도 있다고 하는데, 맞을까요?
과학적으로 일본에서 1960~2010년까지 일본에서 심해어가 출현한 사례를 바탕으로 지진 발생 데이터를 분석해보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결론 냈다고 합니다. 하지만 바닷속 환경변화로 심해어가 얕은 수심에 나타날 수 있고 우연히 지진 전후에 나타났을 경우 사람들이 지진 징조다라고 연관짓는확증 편향이 생길 수 있기에 일종의 미신적 해석에 가깝다는 것이 과학계의 입장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국내 천문대는 어느지역에 있나요??
우리나라는 여러 천문대들이 있는데요, 소백산천문대(충북 단양), 대덕전파천문대(대전 대덕연구단지), 보현산천문대(경북 영천), 국토정중앙천문대(강원 양구), 김해천문대(경남 김해) 청양칠갑산천문대(충남 청양), 순천만천문대(전남 순천), 영양반딧불이 천문대(경북 영양), 무주 반디별천문과학관(전북 무주) 등이 있습니다!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태양은 언제까지 에너지를 방출 할 수 있는 건가요?
태양의 중심에선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데 수소가 주 원료이죠. 수소 원자 4개가 융합하면서 헬륨 1개로 변경이 되는데 질량의 일부분이 에너지로 변환되어 빛과 열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태양의 전체 수명은 약 100억년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약 46억년이 지난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계열성 단계로서 수소를 헬륨으로 융합하며 안정ㅈ거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이며 100억년 중 현재 46억년정도의 시간이 흐른것으로 보고 있죠. 이후는 적색거성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수소가 고갈되고 중심이 수축하고 외피가 팽창하는 단계로 약 50억년 이후로 보고 있습니다.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태양계 안쪽에 지구와 환경이 비슷한 행성및위성이있다면?
태양계 안쪽에서 지구와 환경이 유사하거나 테라포밍의 가능성이 있는 천체로 금성의 경우 지구와 거의 같은 크기와 질량을 가지지만 표면의 온도가 460도에 달하고 대기압이 90이며 이산화탄소가 96%이상을 차지하는 살기 힘든 환경이지만 활발한 화산활동이나 대기역학등으로 테라포밍이 매우 어렵지만 잠재적으로는 가능할수 있을것같습니다. 달의 경우 지구와 가깝고 낮은 중력을 가지며 대기가 없고 방사선과 운석 노출이 심각하기에 도시형 기지 건설을 현실적으로 논하고 있지요. 하지만 화성의 경우 중력이 지구보다 낮고 대기압이 낮으며 추운 기후를 가지지만 극지방의 이산화탄소와 얼음을 녹여 대기를 만들수 잇는 잠재력을 가지기에 적대적인 환경이지만 기술로 접근 가능한 유일한 대상으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단시간에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몇백년에서 몇천년을 거쳐서 겨우 이룰수 있는 그런 기술력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천문학 관점에서 조석고정이라는 상태나 현상이 잘 발생할 수 있는 행성과 위성의 상관관계는?
천체가 공전하는 대상에게 항상 같은 면만을 보여주는 것이 조석고정이지요. 자전주기가 공전주기가 되는 상태인데 달이 대표적입니다. 조석고정은 두 천체가 서로 중력을 주고 받을때 가까운 쪽과 먼 쪽 사이의 중력 차이로 천체가 조금 변형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조석 융기가 생기고 융기와 자전 운동 사이의 마찰이 천천히 자전 속도를 눚춰주고 시간이 지나면 자전 속도가 공전 속도와 같아지게 디ㅗ며 조석 고정 상태에 도달하게되는 것이지요. 조석고정이 잘 발생하기 위해선 작은 천체가 큰 천체 가까이 있어야 하고 작은 천체의 내부가 유동적이거나 가열된 상태여야 하며, 공전 시간이 충분히 오래되고, 작은 천체가 가벼울수록 더 잘 고정되게 됩니다. 공전궤도가 원에 가까울수록 안정적이게 되는 것이지요. 조석고정된 행성은 항상 같은 면만을 노출시켜 한쪽은 뜨겁고 한쪽은 차가운 극단적인 환경을 나타내게 하며 외계 행성 탐사에서 조석고정 여부는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엿볼수 있는 좋은 변수가 되기도 하지요!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