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월급 관리를 조금 더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들에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하현진 경제전문가입니다.월급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1. 소비 줄이기 2. 저축 및 투자가 있습니다.1.소비최소한 수입의 50%는 저축 및 투자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그렇기 위해서는 현재 본인의 소비를 파악해야 하는데, 고정지출(임대료, 세금, 공과금, 관리비, 통신비 등), 변동지출(식비, 생활비, 자기계발비, 문화생활비 등)을 3달치 기준 평균 금액으로 확인이 필요합니다.여기서 줄일 수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소비를 줄이셔야 합니다.또한 가계부 작성을 통해서도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것에 도움이 되기에 가계부 작성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2.저축 및 투자수입의 50%를 저축,투자가 가능한 파이가 생겼다면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누어서 투자해야 합니다.단기는 은행의 예적금을 이용하고, 중기 자금으로는 증권사의 주식, 채권, 펀드 등이 있습니다.장기 자금으로는 노후를 위해 개인연금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또한 비상금도 마련해야 하는데, 비상금은 파킹통장이나 cma 중 선택하시면 됩니다.3.재무 목표1, 2번을 하기 위해서는 재무 목표 설정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본인이 생각했을 때 돈을 모아야 하는 이유를 생각 한 후, 재무 목표/모으는 기간/해당 금액을 설정하셔야 합니다.그 재무 목표에 맞게 단기, 중기, 장기자금에 알맞게 저축,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딱 100만원이 있다면, 적금과 예금 중에 무엇을 하는게 이자를 많이 받나요??
안녕하세요. 하현진 경제전문가입니다.이자만 생각한다면 적금보다는 예금이 좋습니다.100만원으로 1년에 2%의 적금과 예금에 가입한다는 가정 하에, 적금은 달마다 납입해야 하기에 83,333원을 납입한다는 가정하에 이자 10,833원에 이자소득세 1,688원을 과세해서 9,161원인 반면, 예금은 이자 2만원에 이자소득세 3,080을 과세하기에 16,920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파킹통장은 매일 49원 정도의 이자가 발생하기에, 1년에 약 17000원 정도 발생합니다.적금은 9,161원, 예금은 16,920원, 파킹통장은 17,000원 정도로 파킹통장이 이자를 가장 많이 주지만강제성이 부여되는 것은 예금이기에 예금을 추천드립니다.
Q. 자산관리의 포트폴리오에 적금의 비중은 얼마 정도 해야 나이스 할까요? 30대 기준
안녕하세요. 하현진 경제전문가입니다.보통 포트폴리오를 짤 때 단, 중, 장기자산으로 구분한 후 그 목적과 기간에 맞는 금융상품을 정합니다.단기(1~3년), 중기(4~9년), 장기(10년 이후)로 구분하는데, 각 비율은 30%씩이 가장 이상적이며, 10%는 보장성보험입니다.현재 수입의 50%는 저축&투자한다고 생각하시고, 저축,투자파이에서 30%를 단기자산인 은행의 예적금에 투자하시면 됩니다.단기자산으로는 예적금이나 비상금 용도인 파킹통장 또는 CMA를 추천드립니다.중기자산으로는 증권사의 주식이나 채권을 추천드리는데, 주식은 잉여자금으로 하시고, 채권은 목돈으로 중기물에 투자하시면 됩니다.장기자산은 노후준비를 위한 것으로 보험사에서 판매하는 연금보험(고정이율, 확정금리)과 투자수익률로 굴러가는 변액보험이 있습니다. 적금을 한다면 추후에 주담대를 고려해서 주택청약계좌가 있는 은행에 개설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투자의 경우 절세를 위해 ISA계좌 개설을 한 뒤 국내주식이나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에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ISA는 해외주식은 절세 혜택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