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

한만전 전문가
덕성인더스트리(주) 개발팀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고온 세라믹 재료가 적용되는 주요 산업 분야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항공우주 산업 :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고 마모가 없어야함. -> 항공기 터빈부품, 방열판, 우주선 외장 등자동차 산업 : 마찰에 강하고 고온 안정성을 유지하여함 -> 브레이크 패드 , 클러치, 엔진부품, 배기시스의료분야 : 치아 임플란트, 보철물등에 사용건축산업 : 세라믹 벽돌, 세라믹 콘크리트공업분야 : 절삭공구,베어링, 롤러 등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세라믹 소재의 충격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충격저항성 향상방법균일한 미세구조를 형성하도록 제조->입자크기를 아주 미세하게 하고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야 함표면열처리를 하면 표면경도는 올라가고 내부는 연하여 충격강도를 높일수 있음.->열적 응력이 발생할수 있고 이로인해 내부균열이 발생할수 있음표면에 미세균열을 적게하여 충격흡수능력을 높일수 있음.복합세라믹 즉 다른재료를 혼합하여 충격강도를 높일수 있음 -> 나노입자의 세라믹을 사용하면 미세한 구조를 만들수 있어 충격강도를 높일수 있음 ->시도할때 비용문제를 고려해야 양산성을 높일수 있음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금속 내구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공정의 원리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금속의 열처리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QT : 퀜칭 & 템퍼링 -> 열처리 로내에서 약 850~950까지 가열하여(내측까지 균일하게 가열하는것이 중요함) 급냉시킨후(유냉 또는 수냉) 약 200~300도씨에서 열처리응력을 제거하여 (템퍼링) 철을 표면,심부까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강도를 올리는 방법표면침탄열처리 ->철의 표면에 0.5~1.5mm 정도 탄소를 주입시켜 표면만 강하게 만드는 열처리 표면경화열처리의 한 종류임. 표면은 강하고 내부는 연성이 있어 철이 외부로 부터 충격을 받았을때 클랙이나 부러짐에 대한 강한 내구성을 가지게 됨고주파 열처리 -> 철의 외부에 강한 고주파전기를 주어 급속도로 표면을 가열하고 급냉(수냉)시켜 표면만 강화 시키는 열처리 표면경화 열처리의 한종류로 표면에 내마모성을 요하는 제품에 적용오스템퍼링 열처리 -> 항온염욕냉각 열처리중의 하나로 퀜칭과 템퍼링을 한번에 해결하는 방법. 연속밸트를 이용하여 철을 가열한후 (850~950도씨) 염욕으로 항온냉각 (약 300~350도씨)시켜 열처리 냉각충격으로 발생될수 있는 균열이나 변형을 최소하 할수 있는 열처리 주로 정밀소형부품에 적용.진공열처리 -> 진공상태의 로에서 장시간 가열한후 로에서 아주 서서히 로냉시키는 열처리로 변형이 생기면 안되는 부품이나 전체적으로 강인한 경도를 요하는 부품에 적용.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재료공학에서 새로운 소재를 개발할 때, 어떤 물리적 특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어떤분야에 사용되는 재료를 개발 할것인지가 주요한 포인트 인듯합니다.어떤 분야에서 가장 뛰어나게 발휘해야할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부분에 중점을 두어 개발을 진행 하여야 할듯합니다. 또한 실폐사례를 조사하여 시행착오를 최대한 줄일수 있는 방법도 찾아야합니다.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저럼한 비용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야 산업에 사용될수 있습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절연 장갑을 만들때 어떤 재료로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산업안전보건법상 절연장갑은 00등급부터 4등급까지 총 6등급이 존재 합니다.재질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비닐로 만듭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인조가죽은 재료가 뭘로 이루어졌나요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인조가죽은 대부분 석유화학에서 나오는 재질로 제작을 합니다.주로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제조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금속중에 금이 여러 전자기기나 다른곳에 사랑 받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금이 귀금속인 이유는 화학적으로 불활성이어서 산소와 결합하지 않아 부식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전도성또한 매우 뛰어나 전기전도효율이 매우 높습니다.산소와 반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도 변화되지 않으며 광택또한 뛰어 납니다. 이에 비하여 지구상에 존재하는 양 또한 다른 금속에 비하여 매우 적기 때문에 귀금속으로 분류 됩니다.금이 최고인 이유는 자연상태에서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특징이 제일 크게 작용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형광등의 소재는 어떤 걸로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형광등은 수은증기의 방전으로 발생하는 자외선을 형광물질에 의해 가시광선으로 바꾸어 빛을 내는 방법으로 제조된 등입니다.유리관안에 필라멘트를 연결하고 아르곤가스와 수은증기를 집어 넣고 내부표면에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제조 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방수는 보통 어떤 소재를 통해서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물은 표면장력이 강하여 어떤 물질에 잘 다라붙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물이 달라 붙어 젖게 됩니다.물일 흡수된다는것은 소재의 입자가 물의 입자보다 크기 때문에 비어있는 공간으로 물의 입자가 들어가 흡수 된다는 것입니다.하지만 소재를 만들거나 코팅할때 그 재료의 입자가 물의 입자보다 작은 재료를 이용하여 코팅하게 되면 물의 입자가 들어갈수 있는 공간이 사라지고 물이 흡수되지 못하고 흘러 내리게 됩니다. 방수의 간단한 원리 입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화학적 성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전도성 고분자는 금속과 같이 전기전도성을 가진 고분자 입니다.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가공성과 유연성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원자내의 전자들은 특정한 에너지 준위를 가지고 있으나 원자들의 결합으로 인해 결정격자를 이루게 되면 궤도내의 원자배치가 달라질 뿐 아니라, 원자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전자 의 에너지 준위가 분해되어 Quasi-continuous Energy Band를 형성하므로 한 원자에 묶여있던 외부전자는 다른 원자들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은 전자가 자유로이 이동되어야 하는데 전도성이 없는 물질은 전자의 이동이 없기 때문에 전도성을 잃게 됩니다.전동성이 없는 고분자물질은 이중결합과 단일결합의 반복형태로 전자가 모두 채워져 있어 전자가 이동할수 있는 공간이 없어 전자의 이동이 없고 전도성을 잃게 되는 것입니다.하여 새로운 전자를 첨가하든지 혹은 존재하는 전자를 제거하여 분자내에 불균 형을 이르게 하면 전자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전도성을 가지게 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런 원리 입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