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홍기윤 전문가
LG디스플레이
화학
화학 이미지
Q.  흥분의 전도과정에서 재분극이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신경 세포나 근육 세포가 외부의 자극 등으로 인해 막전위가 급격하게 상승했다가(탈분극) 하락하는 변화를 활동전위라고 한다. 활동전위가 일어나는 전체 과정에서, 탈분극으로 인해서 상승한 막전위가 빠르게 낮아져서 원래의 휴지 전위(resting potential) 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을 '재분극'이라고 한다.출처:두산백과
화학
화학 이미지
Q.  기화와 증발의 차이는 무엇이고 기화 실생활 활용 사례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기화란 액체가 기체로 변화하는 모든 현상을 말합니다. 기화에는 액체가 표면에서 기체로 변화하는 증발이나, 또는 액체가 내부에서 기체로 변화하는 끓는 물에 대해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 기화는 액체뿐만 아니라 고체에서 기체로 변화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요. 고체에서 기체로 변화하는 호칭으로 승화라는 말이 많이 쓰입니다. 기본적으로 물체의 상태변화에서는 "액체에서 기체로 변화하는 것을 기화", 입니다. "고체에서 기체로 변화하는 것을 승화"라고 부르니까 기억해 두세요.증발이란 액체가 표면에서 기체로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리고 증발은 끓는 것과 달리 온도에 관계 없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면 맑은 날에 웅덩이가 있고 조금 있으면요, 어느 사이에 웅덩이가 다 없어져 버린 것 같은 경우가 있지요. 그 밖에도 설거지를 한 후에 놓아두면 , 식기에 묻어 있던 물방울이 어느새 없어져 버립니다. 이 모든 것이 증발이라고 하는 현상에 의한 것이라고 하는 것이군요. 이처럼 증발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의 일상에서 항상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 됩니다.출처:사이언스크랩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소금물에서 사람이 잘 뜨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같은 부피의 맹물보다 소금이 녹아있는 소금물이 소금의 무게만큼 더 무겁습니다. 이 때문에 맹물보다 소금물에서 작용하는 부력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되는것 때문에 소금물에서 몸이 더 잘 뜨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수학적 개념인 ‘좌표’는 어떻게 탄생했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좌표는 직선, 평면, 공간에서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값을 말합니다. 데카르트가 처음 발명하고 발전시켰는데, 발며하게된 계기가 파리가 천장에 붙어있는것을 보고 그 파리의 위치를 나타내려다가 발명하게 되었습니다.보통 평면(2차원)에서는 원점에서 만나는 X축(가로)과 Y축(세로)을 사용해서 점의 위치를 (x,y)로 표현하는데 그것은 컴퓨터 그래픽스(CG)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픽셀의 위치를 이야기할 때도 마찬가지로 사용됩니다.또 컴퓨터 기억 장치 내의 위치를 지정할 때도 좌표가 쓰입니다. 3차원(입체공간)에서는 X축, Y축, Z축을 사용해서 점의 위치를 좌표로 표현합니다.예를 들어, 2차원 평면에서 (3,4)자리는 원점으로부터 X축으로 오른쪽 3, Y축 위로 4의 위치가 만나는 곳입니다. 또한 컴퓨터 화면에서의 픽셀 좌표를 표시할 때도 width, height 길이를 구해서 표시를 하는데 x축, y축과 같은 개념입니다.이처럼 특정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값을 좌표라고 하고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좌표계가 사용됩니다.출처:나무위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천문학에서 우주배경복사라는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배경복사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파가 총체적으로 누적되어 전 하늘에 비교적 매끄럽게 관찰되는 복사이다. 이 복사는 하늘의 전 방향에서 우리은하에 있는 관측 대상의 뒤쪽에서 들어오는 은하 외부적인 신호이므로 배경복사라는 말이 붙게 되었다. 빛의 파장 대역에 따라 마이크로파 배경복사, 적외선 배경복사, X-선 배경복사, 감마선 배경복사 등 다양한 배경복사가 존재한다. 개별 배경복사의 생성 기작은 우주에서 일어난 다양한 천체물리학적 현상에 따라 제각기 다르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우주 공간의 팽창에 의해 최대 세기의 파장이 전반적으로 단파장에서 장파장 대역으로 이동된 상태로 관측된다. 출처:천문학백과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피사의 사탑이 기울어지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1173년 착공되어 1372년까지 3차례에 걸쳐 약 200년 동안 공사가 진행되었는데, 1173년에서 1178년 사이에 진행된 1차 공사 이후 지반 토질의 불균형으로 인한 기울어짐이 발견되었다. 그뒤 2차 공사에서 이를 수정하여 다시 건설하였으나 기우는 현상은 계속되었다. 1990년 이탈리아 정부는 경사각을 수정하기 위한 보수공사를 착수하여 10년에 걸쳐 보수작업을 진행한 결과로 기울어짐 현상은 5.5˚에서 멈춘 상태이다. 2001년 6월 일반에 다시 공개하였으나 보존을 위해 입장객의 수를 제한하고 있다.출처:두산백과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초경이란 물질을 뭐뭐 섞인 건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금속의 탄화물 분말을 소성(燒成)해서 만든 경도가 대단히 높은 합금이다. 흔히 사용되는 것은 탄화(炭化) 텅스텐을 주체로 한 결합금속인 코발트와 소결합금(燒結合金)으로, 코발트는 중량비율이 6 % 정도이므로 탄화텅스텐 입자들 사이의 코발트에 탄소와 텅스텐의 녹은 것이 개재해 있다. 이런 조직의 합금은 대단히 굳고 내마모성(耐磨耗性)이 우수하므로 금속제품을 자르거나 깎는 커터(절단기) ·다이스 등에 사용되고, 그 밖에 광산이나 토목용에서 바위에 구멍을 뚫는 착암용 공구의 선단 등에도 사용된다. 이 합금을 만드는 데는 코발트 가루와 탄화텅스텐 가루를 별도로 준비하여 프레스하여 성형(成形)한 다음 온도를 올려 소결(燒結)하는데, 먼저 1,000 ℃에서 코발트 가루끼리를 소결(예비소결)하였을 때쯤 최종 형태로 마무리하고, 그 다음에 1,400 ℃로 가열하여 본소결한다. 이것으로 텅스텐과 탄소가 코발트 속으로 확산하여 들어가 강한 고용체가 되며, 이로 인하여 탄화텅스텐의 입자가 결합되어 조직이 형성된다. 그 밖에 실용상 중요한 것은 WC Co계, WC TiC TaC Co계, WC TiC Co계의 3종이 있다.출처:두산백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상동염색체에서 대립유전자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주어진 유전자의 다양한 변이를 말한다. 상동염색체 상의 같은 위치에 있으며 하나의 형질발현에 관여하는 한 쌍의 유전자로 각각은 서로 다른 형질을 갖는 유전자를 말한다. 대립유전자는 색소같은 다른 형질의 특성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멘델은 흰색과 보라색의 완두 꽃 대립유전자와 종자의 노란색과 초록색 대립유전자를 예로 연구하였다.출처:식물학백과
물리
물리 이미지
Q.  마하는 시속 몇Km를 의미하는 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마하는 주로 항공기의 속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데, 마하 단위로 속도를 나타내는 것은 항공기의 여러 가지 특성이 자신의 실제 이동 속도가 아니라 음속에 더 많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다. 마하 1은 음속(340m/s)과 같은 속도로 시속 약 1224km에 해당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진이 발생할 때 표면파는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학에서는 표면파란 지표면을 통해 이동하는 지진파를 말한다. 표면파는 기계적 표면파의 일종으로 말할 수 있다. 지표면에서 멀어질수록 표면파의 세기는 급격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표면파라고 부른다. 표면파는 P파나 S파와 같은 실체파보다 훨씬 느리게 이동한다. 큰 규모의 지진에서는 표면파의 진폭이 수 cm에 달할 수도 있다.출처:위키백과
2122232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