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4월 21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가장 흔한 질병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는 우리가 아는 한의학과 함께 서양의학이 도입되기 시작한 시기입니다. 이런 조선시기에 가장 흔했던 질병은 어떤 것이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조선시대 시대상과 생활상으로 유추해 봤을때 ,전염성으로 인한 역병이나 영양 실조, 감기나 폐렴과 같은 호흡기 질병들이 만연하였을거라고 추측됩니다. 그중 역병이 전염성과 치사율이 높았을것으로 예상대므로 파급력과 두려움이 젤 컸지 않을까 싶습니다. 역병의 경우 치료법도 없었을뿐더라 전염이 심해 격리한후에 아픔을 돌봐주는것에 그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기같은 증상은 가벼이 여기고 무시하다 폐렴이 되었을 가능성이 큰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백성들은 치료보다는 민간요법과 면역력 자가재생력에 의지하였다고 여겨집니다.
역사
2023년 4월 21일 작성 됨
Q.
사필귀정이라는 고사성어는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사자성어의 의미는 처음에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하여 그릇된 길을 가더라도, 결국에는 올바른 길로 돌아오게 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는데요 중국에서 유래한 고사성어가 아니라고 합니다. 보통 고사성어는 중국에서 유래했던것으로 아는데 특이하게 사필귀정은 고려시대의 유림 학자들 사이에서 나온 말로 전해진다고 해요.
역사
2023년 4월 21일 작성 됨
Q.
제사나 죽은사람에게 절을 2번하는풍습은언제부터이며,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의 제사를 지내는 풍습은 워낙 오래되어 언제부터 내려져오는지에 대한 정확한 시기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옛 중국에서 들어왔을것으로 예상됩니다. 제사를 지낼때 두번의 절을 하는 이유는 동양에서 전해지는 음양사상에 기반을 둔것 같습니다. 이 사상에서 1은 양(陽)을 뜻하고 2는 음(陰)을 뜻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연휴때 어른들께 드리는 절은 살아있는 대상에게 하는 것이기에 1번 절하고, 제사나 차례를 지낼 때는 돌아가신 조상이나 부모님을 향해 절을 드리는 것이기에 2번 절을 하는것이지요. 혹은 그사람의 영혼을 담고있으므로 죽은 육체와 영혼 두가지 세계에 인사를 드린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미술
2023년 4월 21일 작성 됨
Q.
뭉크 절규라는 작품은 자화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뭉크의 절규는 일종의 원시표현주의 작품으로도 볼 수 있는데요 뭉크의 단연 대표작입니다. 뭉크가 "자연을 통한 비명"을 느끼고 들었던 환각적 경험에서 영감을 받은 이 작품은 공황 상태에 빠진 생물을 묘사하며, 동시에 시체와 같고 정자나 태아를 연상케 하며, 그 윤곽은 핏빛 하늘의 소용돌이치는 선에 울려 퍼집니다. 이 '절규'의 주요 인물은 다소 모호한데요. 이 인물은 뭉크의 자화상일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그의 여동생 로라를 묘사하고 있다는 이론도 있습니다. 작가가 직접 밝힌적은 없기에 이런저런 해석이 있다고 여겨집니다.
역사
2023년 4월 21일 작성 됨
Q.
혁명의 대표주자인 프랑스가 아이티 혁명을 탄압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결국 이중성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면서 프랑스 국내에서는 인권과 자유의식이 대두되기 시작하고 이로 인해 프랑스 내부에서는 아이티 노예제도 폐지에 대한 여론이 압박을 강화했는데요. 하지만 노예소유주들의 보상금 문제와 반대에 거칠게 부딪치게 됩니다. 게다가 아이티 흑인을 노예로 쓰던 프랑스 입장에서는 식민지 수입원 상실의 문제에 부딪치게 됩니다. 결국 프랑스는 아이티 독립을 반대하고 당시 아이티 민중혁명을 탄압한것이지요. 자신들의 인권과 자유는 중시했지만 노예들은 오히려 이용하려고 한 이중성으로 보입니다
151
152
153
154
1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