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미술
미술 이미지
Q.  현대미술의 가치는 어떻게 봐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대미술은 이전의 전통적인 미술과 다른점이라 하면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사용한다는 점이지요. 그래서 예전 미술의 경우 아름다운 그림자체와 기술을 통해 직관적으로 감탄하고 가치를 평가할수 있었지만 현대 미술의 경우 그안에 담겨있는 철학이나 시대정신 등 다양한 해석이 들어있기에 다소 난해하게 느껴집니다. 이러한 가치는 주관적이며, 작품이나 작가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기존의 미술의 관념을 도전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자유로운 창작으로 미술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미술은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이슈를 다루며, 예술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유럽의 화가들은 어째서 건물 천장에 그림을 그렸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ㅎㅎ 맞아요 현대인이 보기에 천장화가 굉장히 웅장하고 멋지지만 실제로 그린 화가들은 상당히 힘들고 오랜시간 작업을 필요로하는 대형 작업이었다고 해요. 유럽의 건물에서 천장화가 그려진 이유는 아무래도 당시 종교적인 이유와 과시욕이 관련되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건축물은 주로 극장, 왕궁, 교회 등 대규모 건축물에서 볼수있는것이 그 이유이지요. 종교의 성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해 사람들이 올려다보는 천장에 신성한 종교화를 그려놓음으로서 신자들로 하여금 겸손함과 신실함을 더 느낄수 있게 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귀족들이나 왕들은 그들의 권력과 부유함을 과시하기 위해 건축천장을 장식했던 것이지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북쪽으로 향해자면 안좋다는 말은 왜 나오게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종의 민간신앙, 풍수지리이기도 하고 예전부터 전해져오는 음양의 이야기이기도 한데요. 옛 어른들이 북쪽을 피하라고 한 이유는 우리나라는 주로 남향을 향해 집을 짓기도 하고 선호하기도 했고 동쪽과 남쪽은 태양의 힘이 있기때문에 몸의 에너지에 도움이 된다고 여겼습니다. 예를들어 동쪽은 활력과 새로운 시작을 가져온다고 믿었고 남쪽은 풍요로움과 건강함을 가져온다고 믿었는데요. 그렇기에 나이드신 분들은 동쪽을 선호하기도 하셨지요. 그리고 북쪽은 그만큼 차갑고 어두운 음의 기운이 내재되어 있어 몸이 허할때면 기운을 오히려 뺏겨 건강에 나쁘다고 생각한것이지요. 물론 과학적인 근거는 없지만 저 개인적으로는 실제로 가위에 잘 눌릴때 머리의 방향을 남쪽으로 바꾸고 남향에서 잠을 잔후 좋아졌던 경험이 있습니다.. 게다가 해외에 놀러갔을때도 끄라비에 프라낭비치가 음의 기운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있었는데요. 실제로 라일레이 비치에 있었을때와 달리 프라낭 비치에 들어가니 풍광은 너무 아름다운데 뭔가 습하고 축 쳐지는 경험을 해서 신기했습니다. 물론 양의 기운이 넘치는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발란스가 맞아 좋을지도 모르지요~ 너무 믿을 필요는 없고 가볍게 고려해볼 만한 것 같습니다ㅎㅎ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대 문화의 일본 전파 양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는 역사적으로 가야, 백제, 신라 이 세나라가 서로 경쟁하면서 번영하던 시기였는데요. 그 당시 삼국시대일때 일본은 6세기 야마토 왕조가 성립된후 활발한 교류를 하면서 문화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특히 백제의 문화와 신라의 불교문화가 뛰어났는데 이러한 문화가 일본의 상류층 고위층에게 매우 매력있게 다가온 것인지 일본으로 전파되었습니다. 특히 아스카 시대 불교문화는 신라에서 전해졌으며 이후 고유의 문화로 발전하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농업기술이 어떻게 발달했는지 자세한 내용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농업기술은 말씀하신대로 논농사를 중심으로 발전을 했습니다. 이앙법은 논의 경작법 중 하나로, 토지에 고르게 물이 공급되도록 땅을 조각내어 경사를 만들고 이를 이용해 물을 주어 땅의 적정 수분을 유지하는 논 농사 방법입니다. 이 이앙법은 논 경작법 중 하나로, 고려시대 농업 기술 발달의 일환으로 발전했습니다. 또한 고려시대 농민들은 수로, 배수관, 수도 등과 같은 물 관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는데요. 밭농사의 경우 경사면에 절사를 만들어 토양유실을 막아 밭농사 생산성을 높이고, 집과 멀리 떨어져 농사짓던 것에서 집 주변에 농장물을 재배하면서 담장.화분 등을 사용하는 도시농업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이 외에도 창고리와 저작 같은 작물 재배 기술은 햇빛과 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오곡과 콩 등을 비료로 활용하여 땅의 양분을 유지하고 토양을 개선하는 등의 방법이 발전하였습니다.
1511521531541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