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4월 7일 작성 됨
Q.
사자성어 온고지신의 뜻과 유래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온고지신(溫故知新) 은溫 : 익힐 온故 : 옛 고知 : 알 지新 : 새 신으로 한자는 '옛 것을 익혀야 새 것도 안다'라는 뜻이고 이를 풀이하면 고전 학문들을 깊이 연구하고 내것으로 만들어야 새로이 생겨나는 지식들을 이해할수 있는 통찰력을 가져 누군가를 가르칠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우리가 익히 아는 공자의 가르침 말씀입니다. 이 온고지신의 유래는 논어 '위정편'에 나오는데 '자장'이라는 자가 왕조의 후대(십대)까지 어찌될지 미래를 내다볼수 있냐는 질문에 공자가 답하길, '은나라는 하나라의 정책과 문화를 이어받았으니 이를 알고 비교하면 무엇이 일치하고 무엇이 다른지 알수있다. 그 뒤이어 주나라는 또 어떤점이 달라졌는지 알수있다 이런식으로 알고나면 십대가 아닌 그 이상도 내다볼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역사
2023년 4월 7일 작성 됨
Q.
왕의 딸을 공주와 옹주라고 부르는데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공주와 공주 혹은 아들의 경우 대군과 군처럼 왕의 자식들의 호칭이 달랐는데요.이렇게 왕의 자식을 불리우는데 이름의 차이를 둔 이유는 바로 직위의 차이라고 합니다. 즉 왕과 중전사이에서 태어난 딸은 공주라고 불리우고 중전이 아닌 후궁의 신분에서 태어난 딸은 옹주라고 불리운 것입니다. 일종의 서자를 다르게 칭한것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 이렇게 호칭이 달리되면 같은 자식간에도 서열이 정해져 옹주는 공주에게 높은말을 올리는것이 당시 법도 였답니다. 유럽의 귀족사이에도 서자와 적자의 경계가 명확했는데 역사는 다 비슷하게 흘러가는것이 재미있네요
역사
2023년 4월 7일 작성 됨
Q.
종이접기의 기원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최초의 종이접기의 시작이 어디에서 시작됐는지에 대한 기록이 아주 정확한건 아니라고 합니다. 하지만 종이자체가 서기 105년경 중국에서 발명되었으며 이에 따라 종이접기 또한 얼마 지나지 않아 중국에서 등장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서기 900년까지 중국에서는 종이로 접은 금 덩어리 모양이 중국 전통 장례식에 장식하는 필수품이었습니다. 또한 종이가 서기6세기경 불교 승려들에 의해 일본으로 건너 간 점을 보았을때 이후 일본에서 종이접기가 크게 유행한 배경으로 보입니다. (실제 종이 접기는 일본과 유럽에서 많이 발전한것으로 보입니다.) 1490년부터 일본과 유럽에서 매우 유명한 예술 형식이 되었는데요, 종이 접기에 대해 쓰여진 가장 오래된 문서 중 하나는 '천 종이 접기 크레인'으로 번역되는 '센바 즈루 오리 키타'로 1797 년경에 작성되었습니다.
역사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임금 명칭 뒤에붙는 조 와 종에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왕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졌을지 궁금한 질문인것 같습니다. 조선의 왕의 이름은 왕이 죽고 나서 무덤에 모실때 붙여지는 이름이라고 합니다. 해서 왕이 승하한 뒤에 신하들이 모여서 이름을 지었는데요.이때 종과 조의 차이는 뭘까요?'조'의 경우 : 공이 있는 왕'종의 경우' : 덕이 있는 왕이렇게 나눠져서 이름을 지었다고 하네요. 처음에는 이 두 차이에 대해 크게 뜻을 두지 않았지만 으례 그렇듯이 죽고나서 나라를 위해 세운 업적이 있는것을 더 훌륭한것으로 인식이 되어 '조'를 붙이는것을 더 선호했다고 하네요. 예를들어 조선이라는 나라를 업적을 가진 태조는 당연히 조가 붙게 된거지요. 하지만 조를 붙이는 걸 선호하여 별다른 업적도 없이 조를 붙이길 바란 왕도 있었는데요. 대표적으로 선조가 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전쟁도 내팽겨치고 도망 다니던 왕인데도 불구하고 조가 붙었네요. 결국 역사란 승자에게 유리하게 기록되기 마련입니다. 이런 연유로 조와 종의 차이는 있지만 그 붙이는 과정이 공정하진 않았던 것 같습니다덧. 연산군. 같이 군이 붙는 경우는 폐위된 왕에게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음악
2023년 4월 6일 작성 됨
Q.
모짜르트 대표작품이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모짜르트는 전세계인들에게 가장 유명하기도 하고 한국인들에게도 젤 유명한 클래식 작곡가중 한명이지요. 한때는 모차르트 음악을 들으면서 태교하는것이 유행인 적도 있었습니다ㅎㅎ 저도 모차르트 교향곡을 들으면서 자랐던거서 같네요. 모짜르트는 엄청난 명곡들이 많이 있지만 모차르트 자신이 가장 아꼈던 곡은 무엇일까요.? 재밌는 질문이면서도 답하기 어려운 질문인 것 같네요^^ 한 작품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습니다. 모짜르트는 그의 오페라 작품인 "마술피리"에 대해 매우 기뻐했다고 알려졌지만 그의 위대한 이탈리아 오페라에도 비슷하게 애정을 표한걸로 알아요. 모짜르트가 특정 작품에 대한 애정을 암시할 수 있는 유일한 증거는, 그의 편지 중 하나에서 기록된 글로 추측할 수 있는데요. 그가 작곡한 최고의 작품이라고 주장한 피아노와 관악기를 위한 오중주, K.452에 관한 참조였습니다. 단지 1784년에 작곡된 이 작품은 비교적 초창기 작품이기에, 이후 모차르트가 계속해서 쓴 수많은 주요 걸작을 생각해보면 아마도 그의 후기 작품 중 하나를 가장 높이 평가했을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모차르트의 작품중 '마술 피리'였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171
172
173
174
1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