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역사
역사 이미지
Q.  그리스 로마 신화 중 실제 얘기를 바탕을 만든 내용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고대 그리스 로마 신화와 전설은 교육, 정치, 철학, 예술 및 과학같은 현대 언어에 여전히 영향을 끼치는 유산인데요. 이 그리스 로마 신화중 실제 얘기가 있을까요? 대부분은 전설같은 이야기겠지만, 수천 년 전 고전 참고 문헌에서 그리스 신화의 아이디어 중 일부의 기원을 찾을수 있습니다. 그것은 트로이 목마인데요. 트로이 목마의 이야기는 기원전 750년경 서사시인 호머의 오디세이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약 500년 전에 일어난 것으로 알려진 트로이 전쟁의 여파를 묘사합니다. 10년 동안 트로이(오늘날의 투르키에의 히살리크)를 포위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그리스 군대는 마치 집으로 항해하는 것처럼 성벽 밖에 진을 치고 여신 아테나에게 제물로 거대한 목마를 남겼는데요. 트로이는 의기양양하게 이 목마를 트로이 안으로 끌고 갔고, 밤이 되자 그 안에 숨어 있던 그리스 전사들이 밖으로 나와 도시를 파괴했습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트로이는 실제로 불탔다고 합니다. 다만 목마는 상상력이 가미된 양념인듯 하며, 아마도 고대 공성전에서 불화살에 불이 붙는 것을 막기 위해 축축한 말 가죽으로 옷을 입힌 방식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대구 서문시장이 물산장려운동 때 생긴 것이라는데 물산장려운동은 무엇이고 왜 일어났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물산장려운동은 조선물산장려운동입니다. 당시 1차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경제는 호황이었고 이 호황으로 인한 과잉생산때문에 일본은 식민지였던 조선을 이용하였습니다. 그전까지 한국은 식민지로서 일본 전쟁의 물자공급원으로 수탈당하고 이용당했었는데요. 이번에는 일본에 있는 과잉 생산된 물건들을 소비해주는 대상으로 이용하려 한것입니다. 해서 여러 관세문제까지 철폐하고 조정하여 일본의 물건을 한국에 팔려고 수작을 부렸는데요 그렇게 일본산이 한국에 들어오게 될시 당시 식민지였고 여러 기술도 부족한 한국산은 경쟁력이 밀릴것이 다분하였겠지요.. 그래서 그당시 1920년대부터 있었던 실력양성운동과 함께 경제자립운동으로서 조선물산장려운동이 일어난 것입니다. 즉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 조선의 물건을 사용하자는, 일종의 경제 자립을 위한 민족주의적 운동이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토스토예프스키의 대표작과 그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토스토예프스키는 어떤 작품이 유명할까요? 그의 가장 유명한 소설로는 죄와 벌 (1866), 바보 (1869), 악마 (1872), 카라마조프 형제 (1880)가 있습니다. 그중 특히 토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이 가장 추천하고 싶은 작품인데요. 이 소설은 돈을 위해 파렴치한 전당포인을 죽이는 가난한 남자의 정신적 고뇌와 도덕적 딜레마에 중점을 둔 작품입니다. 작중 주인공은 새로 찾은 부로 선행을 계속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자신의 범죄를 정당화하지만, 한편으론 자신이 한 일에 괴로워하는데요,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Dostoevsky 그 자신이 채권자들에게 많은 돈을 빚지고 있었고 당시 사망 한 동생의 가족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려고 했던 시기였습니다. 그리고 어릴적 부모님역시 비참한 경험을 가지고 돌아가셨습니다. 이러한 배경들을 통해 토스토예프스키 작품의 특징을 찾을수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사회가 개인, 특히 계급에 따라,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들이 가질 수있는 단점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소설임이 두드러지는데요. 그는 고통이 우리네 인간들을 세심하게 만든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다. 고통은 인간의 통찰력을 깊게 만들어 준다는 것인데요. 이는 고통에 대한 칭찬이 아니라 고통의 가져오는 측면 중의 하나를 분석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토스토예프스키 작품은 인간의 본성을 잘 드러내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해외의 팁 문화는 어느 나라에서 시작된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팁문화는 봉건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나 미국인 여행자에 의해 미국으로 다시 수입되었습니다.이는 유럽을 여행하던 부유한 미국인들이 팁을주는 귀족처럼 세련되게 보이기를 열망하는 마음에 의해 자신들의 하인 또는 노예들에게 그들의 성과에 팁을 주는 방식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이 관행은 남북 전쟁 이후 주로 미국 고용주가 이전에 노예였던 농노나 근로자들에게 급여를 지급하지 않는 방법을 모색함에 따라 팁문화를 도용하였고, 이것이 전국적으로 퍼지게 된것으로 보입니다. 일종의 인종차별의 역사라고 생각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교육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개인적으로는 역사와 예술 교육이라고 생각합니다. 살면서 우리는 많을 경험과 공부를 하게 되지요. 하지만 여러 교육중에서도 내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공부중 하나가 역사인것 같습니다. 저 역시 어릴때는 역사가 단순히 올드하고 이미 지나간 옛 기록을 왜 알아야하는지 왜 외워서 시험을 쳐야하는지 너무 지루하고 싫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서 생각해보면 역사만큼 우리가 개인의 시선에서 벗어나서 우리그 과정에서 역사적으로 어떤 사건과 어떤 인물이 역사를 바꿔왔는지도 배우게 되면 우리가 중요한 순간에서 해야할 판단과 역할도 알수있게 되기때문이지요. 이는 단순히 지루한 기록이 아닌 실제 인간의 생존과 삶에 대한 이정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너무나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지네요. 이럴땐 역사를 지식이나 공부가 아니라 현실로 있었던 소설.이야기라고 생각하고 보면 훨씬 와닿고 재밌는것 같아요. 다음으로는 예술 공부라고 생각하는데요. 역사가 미래와 과거를 연결짓고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 생존하게 만드는 힘을 기르는 것이라하면 예술은 인간으로 태어나서 동물 이상의 가치와 문화를 향유하게 해주는 마법같은 분야라고 생각하기때문입니다. 글쓴분께서 윤택하게 살아가기 위해 라는 말을 쓰셨는데 예술이야말로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길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인간으로서 역사와 예술만 공부해도 삶의 많은것을 극복하고 누리며 살수있게 되지 않을까요?
1711721731741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