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Q.  원경왕후의 질투는 무슨일 때문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경왕후는 1차왕자의 난이 성공한 후 왕후가 된것으로 아는데요. 실제로 태종의 중국인 이씨와 원경왕후 민씨는 태종의 축첩과 후궁을 들이는 문제로 크게 다투었다고 합니다. 1401년(태종 1년), 태종이 어떤 궁인을 가까이하자 분노한 원경왕후가 궁인을 따로 불러내어 힐문하였고 이를 안 태종이 노하여 원경왕후전의 시녀와 환관을 내쳤다고 합니다. 그 이후에도 태종과 민씨 사이는 계속해서 불화가 지속되었는데요. 태종이 여러 후궁을 두는 것은 권력 분산과 왕권 강화를 위한 전략이었지만, 이에 대해 민씨는 공개적으로 불평하고 비난했습니다. 태종의 네 명의 처남이 처형된 이후, 태종과 민씨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고, 민씨는 태도가 오만하고 불손하며 폐비의 위기까지 초래했습니다. 그러나 태종은 후일을 걱정하여 폐비를 버리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Q.  우리나라 단편소설의 완성자나 조선의 체호프라고 칭해지는 이태준의 생애와 작품 경향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태준은 말씀하신대로 조선의 체호프라고 불리며 우리나라 단편소설계의 완성자라고 불리운다고 합니다. 이태준의 작품은 대부분 짧은 단편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간의 삶과 사랑 혹은 죽음을 주제로 깊은 사유를 불러 일으키는데요.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일제강점기 시절 [오몽녀] [아무일도 없소] [돌다리] 등을 저술했었습니다.이태준은 당시 시대상을 호소하고 담았던 문학가들과 달리 현실참여에 반대하는 순수문학 단체 '구인회'를 만들었을 정도로 순수문학파에 가까웠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후에 [해방전후] 같은 일제강점기와 현실의 고통을 비교하는 작품등을 쓰며 조금 현실참여적인 성향으로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태준의 작품은 간결하면서 호소력있는 묘사적 문장력이 뛰어났으며 그의 작품에 묘사되는 인물들은 비극적 사태속에서도 인간미가 풍겼으며 인간애를 촉구하는 특징이 있었습니다.
Q.  한반도 역사상 전쟁 주기가 평균 몇년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반도는 지리적 특성상 역사적으로 수 많은 전쟁이 있어왔는데요. 주변국들로 인해 중국이며 옛 몽골족.. 일본에 외세까지 엄청난 침략에 시달리던 역사를 가지도 있는 것 같습니다.이런 외세 침략에 의한 전쟁 주기는 정확히 수치화 하기 쉽지는 않지만 고대부터 현재까지 평균을 내어보자면 대략 10년에서 20년 사이에 한 번씩 전쟁이 일어났다고 보입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전쟁이 거의 없는 추세이니 앞으로는 평화가 계속 되길 바랍니다.
Q.  유다가 예수님을 배신하고 어떤 삶을 살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다가 예수를 배신한후 어떻게 되었는지 마태복음 살펴보면 그 답을 어느정도 유추할 수 있습니다."아침 일찍, 모든 수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은 예수를 처형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그분을 결박하여 끌고 가서 총독 빌라도에게 넘겨주었습니다. 그를 배반한 유다는 예수 유죄 판결을 받은 것을 보고 양심의 가책에 사로잡혀 은 삼십 닢을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에게 돌려주었다. 유다는 '내가 죄 없는 피를 배반하였기 때문에 죄를 지었습니다' 하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들은 '그게 우리에게 무슨 상관이오?' 그건 네 책임이야.' 하고 그들은 말했습니다. 그래서 유다는 그 돈을 성전에 던지고 떠났습니다. 그리고 그가 가서 목을 매매었더라" (마태복음 27:1-5)이 마태복음을 볼 때 유다는 결국 아이러니하게도 예수보다 먼저 스스로 목을 매어 죽은 것으로 보입니다. 유다의 배신의 최종 결과는 양심의 가책과 결국 죽음이었습니다. 추가로 유다가 어떻게 죽었는지에 대한 답이 사도행전 1:18-19에도 있는데요."유다는 자기의 악한 대가를 받고 밭을 샀다. 그곳에서 그는 머리를 숙이고 몸이 터지고 내장이 모두 쏟아졌습니다. 예루살렘에 있는 모든 사람이 이 소식을 듣고 자기들의 언어로 그 밭을 아켈다마, 즉 피밭이라고 불렀습니다." 이 인용문을 볼때 유다는 예수를 팔아 받은 돈으로 산 밭에 목을 매어 자살을 했고 자살후 썩어가는 몸이 쓰러져 내장이 터지는 끔찎한 최후를 맞이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Q.  신사임당의 대표적인 미술작품과 특징은 어떠한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사임당은 5만원권 지폐 인물인 것으로도 유명하지요. 신사임당은 율곡 이이의 어머니로서 시와 그림 글씨에 능력이 출중했던 예술가 였습니다. 신사임당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조선전기에 그렸던 [초충도] [자리도] [노안도]인데요.그중 개인적으로 초충도를 대표작으로 하나 꼽고 싶습니다. 신사임당은 그림을 그릴 때 산수, 포도, 대나무, 매화, 그리고 화초와 벌레 등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즐겨 그렸는데요 산수에 있어서는 안견(安堅)을 따랐다고 전해집니다. 그중 초충도는 여덟 폭 병풍중 한폭에 그려진 그림으로 수박 및 생쥐와 나비 등의 표현에서 섬세한 필선, 선명한 색채, 안정된 구도 등을 보이는 훌륭한 작품입니다.신사임당의 그림 특징으로는 그림에서 섬세한 선과 조화로운 색상이 사용되며, 아름다운 형태와 디테일이 돋보이고 그림에 그려진 사물들은 생생하고 사실적으로 표현되며, 현실감을 전달합니다.
76777879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