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경국전이 무엇에 대해 다루는 책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경국전은 1394년(태조 3년) 음력 3월에 정도전이 저술한 조선 왕조의 건국이념과 정치·경제·사회·문화에 대한 기본 방향을 설정한 헌장 법전입니다. 조선경국전은 총 6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마다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는데요.이 조선경국전의 내용을 살펴보면, 조선시대에는 [주례(周禮)]의 6전체제를 모범으로 삼았으나, 조선의 실정에 맞게 조정되었습니다. 이 6전체제는 치국(治國)의 대략적인 원칙을 서론으로 하여 정보위, 국호, 정국본, 세계, 교서를 다루고 있습니다.서론에서는 천지자연의 이치에 따라 인(仁)으로써 왕위를 지켜나갈 것, 국호를 '조선'으로 정한 것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계승이라는 것, 왕위 계승은 장자(長者)나 현자(賢者)로 해야 한다는 것, 교서는 문신의 힘을 빌려 높은 수준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것 등을 언급했습니다.이어지는 본론에서는 치전, 부전, 예전, 정전, 헌전, 공전 등 6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전은 주요 소관업무를 소목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치전에서는 군신(君臣)의 역할과 관리 선발 방법을 강조하였으며, 재상(宰相)의 중요성과 관리 선발의 고시제도에 의거한 능력 본위의 선발을 강조했습니다. 부전에서는 국가의 수입과 지출에 관련하여 군현제도와 호적제도를 정비하고, 국민의 토지 소유 균등과 부세 경감을 강조하였습니다.예전에서는 조회·제사·교육·외교 등의 의례 원칙을 제시하였고, 고시제도 강화와 교육 참여 기회를 넓히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사대외교의 중요성과 유교적 의례의 필요성을 지적했습니다.정전은 병전의 한 형태로서, 병제가 사람을 바르게 하는 도덕성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병제의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병력과 농업의 조화, 중앙군과 지방군의 이중 체제, 무기 개량과 훈련 개선, 둔전의 중요성 등이 강조됩니다. 병제를 운영하는 원칙은 백성과 군사를 아끼고 나라를 바르게 이끌어야 한다는 대원칙을 전제로 합니다.헌전에서는 형벌 원칙이 제시되며, 형벌은 정치의 보조수단일 뿐이며 정치의 근본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형벌과 법은 도덕적이고 정치적인 예방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공전에서는 국가의 물품 제조나 공사 등을 운영하는 원칙을 다루고 있습니다. 사치를 금지하고 재정 낭비를 경계하며, 백성을 지나치게 부려 피로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이 법전에서 제시된 통치규범은 "주례"의 6전체제를 모델로 하되, 중국의 제도를 적절히 조합하여 조선의 실정에 맞게 조정한 것입니다. "주례"에서는 재상, 과거, 병력과 농업의 조화에 대한 이상을 참조하였으며, 한나라와 당나라의 제도에서는 중앙집권과 국력강화를 위한 부병, 군현, 부세, 서리 선발제도의 장점을 채용하였습니다.또한, 헌전은 "대명률"을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이 법전은 개인이 작성하였지만 조선왕조의 건국 이념을 정리하고 제시한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경제육전"과 "육전등록" 등이 작성되어 성종 때 "경국대전"이 편찬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Q. 조선시대 원찰의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원찰은 사찰중에서 주로 왕실이나 유력 권력 계층 구성원들의 안녕과 명복을 비는 목적으로 세워졌던 불교건축물이었습니다. 그에 따라 왕들의 능과 가까운 지역이었던 곳에 주로 건립되었는데요. 주로 경기 일대와 지역 수도등에 지어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원찰의 건립은 조선시대까지 이어졌으며, 이는 태조의 계비인 강씨가 죽은 후 1405년에 정릉에 장사지를 내고 흥천사를 세워 원찰로 삼았던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원찰은 왕과 왕비의 진영을 봉안하고, 기일마다 불교식 재를 올려 명복을 비는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기일에는 국왕이 직접 방문하여 시설을 화려하게 하고 중요시했습니다.고려시대에는 귀족들의 원찰도 있었습니다. 선원사, 보달원, 청계사, 보광사 등이 대표적인 사찰로 건립되었습니다.그러나 1776년에 정조가 즉위한 이후로는 원찰에서 생기는 폐단이 많아지면서 원당을 금지하는 법령이 제정되어 원찰의 건립이 사실상 금지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