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재활의학과 전문의 &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 이수
재활의학과 전문의 &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 이수
이정재 전문가
재활 전문 병원 재활의학과 전문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생식기 냄새 때문에 고민이에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단순 위생 문제가 아니라 염증일 가능성이 있는것이기 때문에 비뇨의학과 내원하셔서 검사 후 치료받는게 좋습니다. 오히려 방치하면 더 큰 염증이 생길 수 있어 조기 치료 하는게 좋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생리 란 언제 끝나나요? 불규칙해서 걱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5일정도를 기준으로 봅니다만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본인 주기를 측정해서 평균적인 일수를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기간이 10일이상간다거나 생리양이 점점 줄지 않고 많다면 병원에 내원하셔서 확인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임신 시도 중인데 배란 시기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과거에는 기초체온 잰다거나 생리일수에서 날짜 계산을 한다거나 했는데 최근에는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서 가장 정확한 시기를 확인하여 임신 성공률을 높이게 됩니다. 가능하면 병원 도움하에 준비하시는게 보다 수월하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9월 3일 작성 됨
Q.
손목에 물혹이 생겼는데요. 어떻게 해야할지 걱정되네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손목 결절종이라고 합니다. 통증이 없으면 보통 그냥 두는경우도 많지만 점점 커지거나 미용상 혹은 통증이 생기면 바늘로 흡인 치료 하기도 하고, 바늘로 빼고 나도 다시 재발하는경우도 많습니다. 수술적인 치료도 가능하긴 하구요. 가까운 정형외과/재활의학과 진료를 보시는게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9월 3일 작성 됨
Q.
오래 앉아있다가 일어나면 어지러울 때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주로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표현하며, 천천히 일어나는 습관, 고개를 급하게 돌리지 않기등 생활습관에서 대처하는것이 중요하며, 기립성 저혈압 증상이 심한경우 고혈압 약을 먹는것과 반대로 저혈압을 잡아주는 약을 먹기도 합니다. 증상이 반복되면 순환기 내과 내원하셔서 진료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3일 작성 됨
Q.
척추측만증이 있을 때 교정을 통해 피면 키가 커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순수하게 성장의 의미는 성장판이 닫히면 되지 않기때문에 맞지 않는 표현이고 척추 교정이 이루어지면서 자세 교정으로 인한 키큼 효과라고 보시는게 더 정확하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3일 작성 됨
Q.
발바닥에 못이 찔렸는데 어느병원가나요m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녹슨 못이라면 파상풍 치료를 받는게 좋으며, 가까운 정형외과/외과/재활의학과 등에서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치료 이후에도 꼼꼼하게 소독 하며 덧나지 않도록 잘 보셔야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3일 작성 됨
Q.
허리가 아프고 등부터 엉덩이까지 한 번씩 찌릿거리는 느낌이 들었는데 디스크가 아닐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엑스레이에 나올 정도는 아니더라도 신경통은 있을 수 있습니다. 순간적인 복압 증가라던지,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이해 신경통을 유발할수도 있구요.평소 바른 자세 유지해주시요추전만 자세 및 코어 운동을 병행하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3일 작성 됨
Q.
폼룰러로 운동 하다가 갈비뼈 부분에 심한 통증이 왔어요 갈비뼈 부분이 너무 아픕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젊은 나이대라면 보통 염좌 정도로 의심이 되나 나이로 보아 또는 기존에 골다공증이 있었다면 골절 가능성도 무시하지 못하므로 가까운 정형외과/재활의학과 가셔서 검사 후에 필요한 치료를 받는게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3일 작성 됨
Q.
인대가 늘어났다면 어떻게 치료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인대 손상이 아니라 늘었다면 보통 염좌및 긴장으로 보고 안정 취하고 필요하다면 소염제, 물리치료 등으로 증상이 호전되기를 기대합니다. 그러면서 병원에 따라 충격파 치료나 재생주사 치료등으로 치료할 수도 있곘습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