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재활의학과 전문의 &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 이수
재활의학과 전문의 &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 이수
이정재 전문가
재활 전문 병원 재활의학과 전문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일어나려고 허리에 힘을 주면 너무 아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급성 요추 염좌 혹은 평소 허리통증이 있었다면 허리디스크 가능성 을 두고 병원 치료를 받으셔야 겠습니다.평소 요추전만 자세 유지가 중요하며, 통증이 없어진다음에 코어 운동 위주로 진행해주시는게 좋으나 지금은 병원 진료/치료가 우선으로 생각됩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성장통은 몇년//몇일이나 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병원에서 성장통이라고 하면 통증이 있으면 온찜질이나 대증적인 치료를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평소에 사진과 같은 스트레칭또 꾸준히 해주면 종아리, 발바닥 쪽까지 스트레칭 되서 증상호전에 한결 도움이 되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새끼발가락 골절인데 기브스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골절 여부는 정형외과 내원하셔셔 x-ray를 촬영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골절이라면 요즘은 반깁스 splint 형태로 많이 처방이 가능하지 병원진료부터 보심이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다리가 자꾸아파오는데 어찌해야 되는지~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아무래도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어느 한쪽으로 통증이 더 생길수는 있겠습니다. 먼저 통증 부위 문제에 대해 정형외과 진료를 보시고, 치료가 필요하면 치료부터 그 이후에는 운동 재활치료를 통해서 보강할수 있는 부분을 보강하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의사선생님이 앞으로 축구하지 마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최소한 몇개월간 통증이 완전히 없어질때까지는 가급적 하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아직 젊고 스포츠를 좋아하신다면 병원치료 하면서 운동 재활도 병행하셔서 운동 전에 최대한 몸상태를 만들어 놓고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서있을때 무릎이 아프면 무릎보호대 하는게 낫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힘들일을 해야 되거나 장시간 서있을때야 잠깐씩 보호대 하는것이좋지만 너무 오래 보호대에 의존하게되면 장기적으로는 근육이할일을 대신하는것이므로 근육이 빠지게 됩니다. 우선 병원 진료로 무릎자체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보시고, 통증이 좀 줄어든다면 무릎 재활위주로 운동 치료 하시는것 권유드립니다.숙련된 치료사와 같이 하는게 좋겟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앉으려고 할 때 허리보다 더 아랫부분이 너무 아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앉아있을떄 기본적으로 허리 디스크로 가는 압력이 커질수 있어 가급적 장시간 앉아있는건 피하는것 이좋겠습니다.허리통증이 생활에 지장을 주고 불편감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재활의학과 진료 권유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성장판이 닫힌 후에는 아에 키가 안크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의학적으로는 성장판이 닫히면 더 이상 키가 크지 않습니다. 성인이 되었어도 키가 컸다면 아마 성장판이 늦게 닫혔을 확률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나이가 들면 디스크가 퇴행되면서 키가 주는 경우는 있을수 있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앉아있거나 허리를 일정치 이상 구부리면 허리아랫부분이 아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앉아 있는 시간이 길다면 반드시 올바른 자세로 앉는 습관이 중요하며사진에서 보듯이 앉아있는 자세 자체가 허리 디스크로 가는 힘이 강해지게 됩니다.따라서 1시간에 한번정도 자리에 일어나 허리의 부담을 덜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지금 증상은 디스크근육 긴장 둘다 해당되기때문에 최대한 안정을 취하시고 지켜보시되, 증상이 호전이 안된다면 정형외과/재활의학과등 병원 진료를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어머니가 다리 근육이 없어서 거동이힘들어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현실적으로 재활치료가 필요하지만 안타깝게도 나라에서 정한 재활치료 기준에는 (급여) 해당되는 치료가 거의 없습니다. 이런경우에는 운동, 재활치료를 잘하는 정형외과/재활의학과 등 내원하셔서 진료 후에 도수치료를 통해서 필요한 근력 강화라던지 밸런스 부분이라던지 치료를 시행하게 되겠습니다. 연세 고려하면 대략 4~10회 안쪽으로 치료를 받고 그 이후에는 자가 운동으로 교체하는 식으로 하는게 좋겠습니다
221
222
223
224
2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