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잠을 많이 자도 피로감이 가시지 않는 경우?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절대적인 수면양도 중요하지만 수면의 질 또한 중요합니다.수면 위생이라고 하여, 잠자기 전에 루틴을 만들고, 필요하면 약간의 미등, 수면 전에 반신욕과 같은 근육 이완을 시켜주는것 등 최대한 약을 쓰지 않고 바꿔볼수 있는 부분을 대처해보시고, 평소에도 스트레스 관리에 힘써보시는게 좋겠습니다. 만약 이러한 샣왈습관 변화에도 피곤함이 지속되면 병원에 내원하여 피검사에서 갑상성호르몬, 부신 호르몬 이라던지 특별히 문제가 있지 않은지 확인할 필요는 있겠습니다.
Q. 허벅지 안쪽 통증과 찌릿,저림 현상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폼롤러로 해결되는건 대부분 단순 근육통, 긴장 증세이나 두드릴때 울리는 느낌이 들거나 허리를 숙이거나 자세변환시에 찌릿한 느낌이 든다면 허리디스크 등의 문제를 확인할 필요는 있습니다. 이런경우에 허리를 급하게 틀거나 움직임을 최소로 하고, 허리를 많이 숙이거나 쪼그려 앉기등은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또한 장시간 오래 앉아있는것도 허리에 좋지 않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지속, 악화된다면 가급적 빨리 병원에 내원하여 진단과 치료를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Q. 허리 측만이 있는데 허리 근육 강화 운동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허리 측만이 몇도인지? 지금 나이면 대부분 진행되지는 않을텐데, 평소 허리통증이 있는지 등도 중요하겠습니다. 재활병원에서도 허리측만증만을 위한 재활치료는 없고, xray 를 통해 기본 정렬을 파악한다음, 도수치료를 통해서 맞춤형 치료를 하게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허리통증 있을떄 기본적으로는, 위와 같이 요추전만 자세 유지를, 그리고 코어 운동을 추천합니다만, 측만증이 어느정도 오래되었고 평소에 내 몸이 어떻게 보상하고 있느냐에 따라 숙련된 치료사/전문 트레이너와 같이 운동하시는것을 권유드립니다.특히 측만증은 허리뿐 아니라 골반, 흉추, 경추등 전반적은 밸런스를 다 신경써서 운동해주것이 안전합니다
Q.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일단 최대한 계단을 다니지 말고 무릎을 쉬고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나이가 젊으시기 떄문에 소염제, 물리치료 복용하고 쉬면서 경과봐서 호전되면 문제없이 지내실것이고 혹시 MRI를 찍더라도 큰문제가 없을 확률이 있고 있더라도 연골연화증 정도라면 보존적 치료해서 통증이 줄어든 다음부터는 무릎, 골반, 코어 운동 위주로 꾸준히 운동하면 좋아질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현재는 운동을 하기엔 적절하지 않으 시기라, 최대한 쉬면서 병원 진료를 우선적으로 따라가심이 좋아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