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김상규 전문가
(주)남부공항서비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바둑 두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바둑은 상대방을 이겨야 하는 게임입니다.상대방보다 더 생각을 많이 해야하고 상대방보다뛰어난 수를 둬야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남들보다공부를 더 많이 해야하고 생각의 차이를 둬야합니다.일반적인 방법을 나열해 본다면1. 각 종 문제들을 최대한 많이 풀어본다.2.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으로 대국을 최대한 많이 해본다.3. 자신이 둔 바둑을 선생님과 같이 복기를 받아보거나 혼자서 복기를 해본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효과UP!)4. 다른 사람의 바둑을 자신이 둔다고 생각하며 관전한다.5. 프로들이 둔 수들을 이해해보려고 노력한다.정도가 되는데요이 다섯가지라도 꾸준히 실천하신다면어느 순간 바둑실력이 엄청 느는 것을 실감하실겁니다.우선 문제들을 많이 풀어보는 것 제일 중요합니다.​우리나라에서 상위 1프로 프로바둑기사들은어렸을때부터 수읽기 훈련을 매일같이빼놓지 않고 했다고 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스텔스 전투기는 어떤 기계공학적인 원리로 레이더에 잡히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스텔스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스텔스 기술을크게 2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1. RAM RAM(Rader Absorbing Material) 의 경우 전자기파를 열로 변환시켜 레이더파를 흡수해 버리는 방식입니다. RAM의 경우 일명 "도료" 라고 하는 스텔스 도료를 사용 하였는데 이 스텔스 도료의 경우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기체가 비행할 때 마다 많은 부분이 벗겨져 기지에 복귀하고 나서 매번 다시 도색을 해 줘야했기에, 자동 적으로 유지비가 많이 들었고. 또한 도색작업 자체가 세밀한 주의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 문제에 의하여 RAM의 경우 , 도료 보다는 RAM의 형식을 기체에 부착하는 부품이나 구조물 형태로 만들게 되었으며 이후에 플라스틱 기술이 발달 함으로서 플라스틱 소재의 형태로 기체에 부착 되었습니다. 초기의 도료는 아이언볼(Iron ball) 이라는 도료를 사용 하였는데 이 도색도료의 경우 미국이 구 소련의 상공을 무사히 정찰할 수 있도록 개발된 고고도 정찰기인 U-2 정찰기에 도포된 성분이며 그 밖의 SR-71,F-117,B-2등 1~2세대 스텔스 전투기들에 많이 사용 되었던 방식입니다. 2. RAS(Rader Absorbing Structure) 전파흡수 및 산란 구조 방식으로기본적으로 스텔스 외형은 레이더파가 날아와 충돌한 반사파를 되돌아 가지 못하게 즉 발원체로 돌아가지 못하게 기체의 형상을 설계 하는 것인데설계방식 자체가 완벽한 스텔스성을 보장 할 수는 없고, 산란한 반사파 중 일정 각도로 분사된 반사파가 탐지 될수 있기 때문에, RAM 원리에 보충해서 사용 하는 것이고 이러한 특정 각도의 레이더파가 반사되는 원리를 "레이더 스파이크(Rader Spike)" 라 합니다. 즉 이런 방식의 외형 형상 원리는레이더 반사파 즉 레이더 스파이크를 줄이는 원리이며 레이더 스파이크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 입니다. 즉 스텔스기의 경우 이런식 의 레이더 스파이크 원리를 토대로 "스텔스 카운터" 등의 공격 방식 이라든 지 순항기동, 회피기동 전술 등을 개발 구사할 수 있게 되며 스텔스기에 대한 포착을 효과적으로 좌절시키는 기술입니다. 스텔스 형상 설계의 기본으로 각 날개의 각도를 일정하게 위치 하도록 만드는 것 인데 주익과 미익의 앞면과 뒷면 조종석 면의 구조 등을 부연속면 1과 경사면의 각도를 일정하게 위치 시키는 것이 관건 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말인 즉 레이더파가 2번 이상 튕기고 다시 돌아갈 수 있는 여지를 주지 못하도록 완벽하게 각도 설계를 하는 것으로 , 쉽게 말해서 레이더 반사파가 튕기고 튕겨서 안쪽으로 빨려 들어가며 소멸해 버리는 방식 구조 설계입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기계 공학을 전공을 하면 취업은 어디로 나가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기계공학은 워낙 넓은 분야를 포괄하기에 딱 어디가 진로다 라고 하기 힘든데요.과거에는 산업현장이나 공장, 가전제품 생산 도구로써의 기계가 주가 되었으나최근 4차 산업혁명의 부상으로 인해인공지능/ 로봇 / 빅데이터/ 자동화 / 선박개발/ 자율주행 차 등 대단히 많은 분야에서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학문이기에 진로 또한 광범위 합니다.기계나 공장을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분야에 취업이 가능하다 보시면 되겠는데요.분야별로 보면로봇, 기계. 자동차, 자동화, 항공우주, 일반산업, 조선해양, 군사, 재난안전, 철도, 정밀생산, 물류,일반요소 부품, 플랜트 , 생산설비 , 마이크로 나노 등으로 나눌 수 있고일반 기계 분야의 기업으로 보자면삼성전자, LG,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현대중공업, 두산 중공업, 현대모비스,SK 하이닉스, GS 칼텍스 , 현대 오일뱅크, LS 산전, LG 디스플레이 등정부출연 연구소 분야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원자력 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등공공기관에너지관리공단, 한국가스공사, 대한송유관공사, 지역난방공사 등그외각종 교육기관 교수, 교사 등이정도로 분야를 나눌 수 있겠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스마트팜 기술은 어떤 기술이나 기계적인것들이 들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최근 스마트팜 기술에는 IoT 기술 적용경우가 증가중인데요.이를 통해 작물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고 , 필요조건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킵니다.1, 다양한 스마트 센서 토양습도 센서, 온도 센서, 빛 감지 센서 등이 작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데이터를 수집합니다.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농부에게 적절한 조언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더 이상 일일이 농작물을 살필 필요성이 없습니다.​이를 통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향상된 생산량을 기대 가능합니다.온도센서농작물 주변 온도 측정 후 자동으로 온도 조절 (냉방시스템 자동 작동)습도 센서농작물 주변 습도 측정하여 자동 습도 조절 (가습기 및 제습기)빛 센서농장물 주변 빛 양 측정하여 조명 자동 조절토양센서토양 내 물/영양상태 측정 하여 자동으로 물/ 비료 공급2, 스마트팜 자동화 시스템온도센서습도센서빛 센서토양센서자동 물주기 시스템토양센서가 물부족 감지시 물주기 시스템이 작동하여 최적의 생육조건 유지자동 환기 시스템공기질 및 온실 안 온도 상태 파악 후 자동 환기 시스템이 작동하여 신선공기 공급 이런 스마트팜 자동화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와 자동화 장치를 통해 농작물이 자라는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이런 기술을 통하여 농업 효율성 증대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 가능합니다.그외 빅데이터 분석 기능 적용으로농작물 생육 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언제 얼마나 자랐나, 언제 병에 걸렸나 등)모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언제 비료를 줄 지, 언제 물을 주면 좋은지, 수확이 언제가 적기인지 등을 예측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모터가 돌아가는 속도 무엇에의해서 결정되는지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모터가 돌아가는 속도는보통 분당 회전수 RPM 으로 표현하는데요모터 회전수를 결정하는 제어 방식은 여러가지입니다.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과 기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방법을 열거해본다면​1. 전압 제어​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전압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모터에 가해지는 전압을 조절하면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더 높은 전압을 주면 모터는 빠르게 회전하고, 낮은 전압을 주면 모터는 느리게 회전합니다.​2. 주파수 제어​주파수 제어는 주로 교류 (AC) 모터에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주파수 제어기를 사용하여 모터에 공급되는 주파수를 조절하여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3. 펄스 폭 변조 (PWM)​펄스 폭 변조는 직류 (DC) 모터 및 일부 교류 (AC)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WM는 모터에 가해지는 전압의 폭과 주기를 조절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합니다. 이 방법은 정밀한 제어를 제공하며, 모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참고사항​모터의 회전수를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사용됩니다. 관련 기술 몇가지를 열거해 본다면1. 엔코더​엔코더는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센서입니다. 엔코더는 모터의 현재 위치와 회전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며, 제어 시스템이 모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2. 제어 시스템​제어 시스템은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모터에 전압이나 주파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회전수를 유지합니다.​3. 소프트웨어 제어​모터 회전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어되기도 합니다. 소프트웨어 제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모터의 동작을 조절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이 정도로 모터 회전수에 대해 간단히 열거해 보았습니다.
1461471481491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