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후위기가 피부로 느껴지는데요, 기후위기를 위한 협의체도 만들고 회의도 하는데요, 해결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기후 위기 해결이 어려운 주된 이유는 문제의 복잡성과 국제적인 이해관계의 충돌, 그리고 단기적 이익 추구 경향 때문입니다. 기후 위기는 화석 연료 사용, 산림 파괴, 농축산업 확장, 도시화와 에너지 소비 증가 등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주요 원인이며, 이 문제는 전 지구적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각 국가와 기업의 경제적 이해관계가 달라 탄소 배출 규제에 대한 합의가 어렵고, 기후 변화의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특성 때문에 심각성을 즉각적으로 느끼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Q. 질병증가 산불의 발생, 러브벌레 출몰 등등 기후위기,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점인 것 같은데요,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이라는 두 가지 큰 틀에서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온실가스 감축은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확대, 산업 공정 개선, 건물의 에너지 효율 강화, 친환경 자동차 보급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자체를 줄이는 노력을 포함합니다. 기후변화 적응은 이미 나타나거나 미래에 나타날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비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사회 전반의 시스템 변화가 요구됩니다.
Q. 동물들의 코는 다 냄새를 맡기 위해서 있는건가요?
동물들의 코는 주로 냄새를 맡기 위해 존재하지만, 종에 따라 다른 중요한 기능도 수행합니다. 육상 포유류의 코는 후각뿐만 아니라 호흡기관으로서 공기를 여과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물고기의 코는 호흡 기능은 아가미가 담당하기 때문에 주로 냄새를 맡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상어는 수 킬로미터 밖의 피 냄새를 맡고, 연어와 은어는 후각을 이용해 자신이 태어난 강으로 돌아오는 데 활용합니다. 개와 같은 일부 동물은 코로 열을 감지하거나, 사람의 감정을 읽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