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성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전문가입니다.

이성영 전문가
단국대학교/치의학과
치과
치과 이미지
Q.  이가깨져서 음식물이자주끼는데 씌우기만해도 보안이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치아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어떤 치료가 적절한지 판단할 수 없습니다.다만 치과에서 무조건 비싼 치료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치아가 깨진 상태에 맞춰 적절한 치료를 권장하게 되는 것이지 비싼 치료를 권하거나 강제하지 않습니다.치아가 깨진 정도가 작다면 단순히 레진으로 떼우는 것으로 치료가 종료될 수 있습니다.치아가 깨진 정도가 그보다 큰 경우에는 본을 떠서 간접적으로 수복하는 인레이나 온레이, 혹은 치아를 완전히 덮어 씌우는 크라운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치아가 깨진 부위와 깨진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태를 보지 않고 어떤 치료를 해야 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상태를 검사받고,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에 대해 상담받으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사랑니가 하나 났습니다 빼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사랑니에 통증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발치하는 경우는 이상 증상이나 질병의 치료를 위한 치료입니다.사랑니에 문제가 없으나 뽑는 경우는 대개 추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미리 발치하는 예방 목적의 치료입니다.즉, 사랑니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뽑아야 하는 것은 아니고 통증이 있다고 해도 무조건 발치를 고려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치료를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다만 사랑니의 맹출방향과 맹출정도, 구강위생관리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사랑니로 인해 여러 문제들(사랑니와 앞니 사이의 충치, 잦은 잇몸염증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면 예방적으로 발치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다시말해 뽑아야 하는 사람과 안뽑아도 되는 사람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똑같이 맹출한 사랑니라도 구강위생관리가 잘 되지 않는다면 뽑는 것이 좋고, 사랑니의 방향이 차후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면 사랑니를 뽑아주는 것이 권장되는 등,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인플란트수술 후 이빨관리요령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임플란트 주변에도 원래의 치아와 마찬가지로 음식물 찌꺼기가 잔류할 수 있고, 세균이 증식할 수 있고, 치태가 침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잇몸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잇몸 염증의 발생, 회복이 반복되면서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치주염이 발생 하여 임플란트가 흔들릴 수 있고 이경우에는 임플란트를 뽑아야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때문에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칫솔질 및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하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으면 충분히 오랜 기간 잘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보통 임플린트 치료 직후에는 6개월마다 정기검진이 추천되며, 이후에는 최소 1년에 1회는 치과에 내원하여 전체적인 구강검사 및 스케일링을 받으면서 임플란트의 상태를 점검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치아는 병들면 회복이 불가능하다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치아 자체에 충치나 파절이 발생하는 경우, 치아는 재생되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스스로 회복되지 않으며 충치가 있는 경우에는 점차 깊은 충치로 진행되지 음식이나 약 등에 의해 충치가 치료되거나 재생되지 않습니다.잇몸질환인 경우에는 주 원인이 구강위생관리가 잘 안되어 잇몸이 붓고 피가 나는 것으로, 이 때에는 구강위생을 개선하고 정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을 해 줌으로써 회복이 가능합니다.하지만 구강위생이 개선되지 않고 잇몸질환이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에는 점차 질병이 진행되어 치아 주변의 잇몸뼈와 조직이 파괴되는 치주질환으로 진행되게 됩니다. 이미 심각한 치주염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치아를 잡아주는 뼈가 많이 파괴된 상태로 치아가 흔들리게 될 수 있습니다.이런 경우에는 이미 치아 뿌리까지 감염이 진행되고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치아를 발치하지 않고는 치유가 일어나지 않습니다.'잘먹고 좋은약을 먹으면 나아지는것 같기도한데 착각인가요?' - 잇몸질환이나 치주질환의 특성상 증상이 나타나다가 일시적으로 멈추는 휴식기가 있습니다. 이 때는 증상이 개선되어 나았다고 착각하기 쉬우나, 치유된 것이 아니고 단순히 질병의 진행이 멈춰있는 상태로, 수주 - 수개월 후에 다시 진행이 시작되며 이 때 다시 통증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동시에 이전에 증상이 나타났을 때보다 점점 깊이 질병이 진행되어 잇몸뼈가 점차적으로 더 파괴되어갑니다.문제는, 이전에 증상이 있었으나 '잘먹고 좋은약 먹었더니 괜찮아졌더라' 라는 생각으로, 치과에 내원하지 않고 다시 잘먹고 약을 복용하는 데 그치며, 얼마 후 다시 증상이 완화되어 '저번처럼 다 낫았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앞서 말했듯, 치주질환은 증상이 계속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증상이 생겼다 없어졌다를 반복하며, 이후 치아가 흔들릴 정도가 될 정도로 심한 치주염으로 진행된 다음에야 치과에 내원하여 발치를 하지 않고는 치료할 수 없는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예전에도 이러다가 멀쩡해 졌는데 왜 갑자기 치아를 뽑아야 한다는 거야?' 라고 의심을 하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습니다. 좀 더 빨리 치과에 와서 적절한 치료를 받았다면 충분히 더 오래 쓸 수 있던 치아를, 단순히 본인의 생각으로 치과에 내원하지 않고 방치한 결과이므로, 그 책임은 환자 본인에게 있습니다.'스트레스를 받으면 치아부터 흔들리는데 , 치아가 젤 약해서 그런지 궁금합니다.' - 스트레스를 받는 등 몸의 면역이 떨어지게 되면 잇몸염증은 언제든지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치아가 흔들릴 수 있으며 특히 앞서와 같이 심한 치주염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치아가 심하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이가 가끔 시릴때 신경치료를 받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시린 증상이 나타나는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고, 충치 역시 어느 정도의 크기와 깊이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단순히 충치 치료만 하면 될지, 신경치료를 해야 할지를 알 수 없습니다.일반적으로 충치치료라 하면, 충치로 인해 감염된 치아 부분을 제거하고 해당 부위를 치과용 재료로 떼우거나 본을 떠서 간접적을 수복하는 치료입니다.이미 감염이 깊이 진행되어 신경까지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신경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신경치료는 치아 내부의 신경과 혈관 등 감염된 조직을 모두 제거하고 소독한 뒤 치과용재료로 밀봉하는 치료이며, 치료 후에는 치아가 깨지기 쉽기 때문에 보통 치아를 완전히 덮는 크라운 치료가 동반됩니다.때문에 정확한 구강상태를 알지 않고는 어떤 치료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없습니다.신경치료 중에는 마취를 하므로 통증이 없으나, 치료 후에는 일시적으로 통증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3013023033043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