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충치는 꼭 음식물 말고 다른원인으로 발생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음식을 먹지 않으면 충치는 발생하지 않습니다.충치는 구강내의 충치균이 당을 분해하며 발생하는 산에 의해 치아의 구조가 파괴되며 발생하는 질병입니다.즉, 입 안에 충치균이 없거나 당 등의 영양소가 없거나 치아가 없다면 충치는 발생하지 않습니다.인접면에 충치가 발생하는 경우는 치실/치간칫솔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칫솔질만으로는 인접면의 청소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음식물 잔사 등이 저류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충치가 발생하게 되므로, 반드시 칫솔질 후에는 치실/치간칫솔을 사용해야 합니다.백수 시절에 문제가 없었던 것이 아니라 이미 이 때부터 충치가 진행되고 있었을 수 있으며, 충치가 작은 경우에는 증상이 없다가 하필 취직한 후에 충치의 깊이가 깊어진 시기라 증상이 발생하여 치과에서 검사를 받았고 이 때 충치가 '발견된' 것일 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충치는 하루아침에 발생하지 않으며, 충분한 시간에 걸쳐 발생합니다.
Q. 치통이 심할 때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단순히 치통이라 표현하였지만, 치통의 원인은 다양하므로 정확한 답변은 어렵습니다.잇몸질환이나 치주질환으로 인한 통증이라면 근본적인 원인(치석, 치태 등)을 제거하지 않고는 치료가 어려우며, 약을 먹는다고 가라앉지 않습니다.다행히 잇몸염증이라면 구강위생 개선으로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으나, 치주질환인 경우에는 치과에 내원하지 않고는 해결이 어렵습니다.다만 이런 경우에는 치과에 내원하기까지 일시적인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소염제를 복용하는 것은 가능합니다.치아 신경에 문제가 발생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황이 다릅니다.치아 신경이 어떤 원인으로 염증이 생겨 시린 증상과 통증이 발생하였으며 이때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해 만성으로 가는 경우에는 자발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는 신경통의 특성상 밤에 극심한 통증을 느끼며, 진통제로 통증이 잘 가라앉지 않습니다. 빠른 시간 내 치과에 내원하여 응급으로 신경치료를 해야 통증을 가라앉힐 수 있습니다.어떤 경우든, 구강내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해결하려고 하면 질병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Q. 금니 한곳이 너무 아픈데 치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만약 해당 부위가 처음부터 통증이 심했다면 담당치과에 내원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으셨어야 합니다.만약 해당 치아의 충치가 깊었던 경우라면 치아 신경에 많은 자극이 가해지고 치아가 이를 버티지 못하고 신경에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치아신경이 적응하면서 증상이 완화되거나, 치아 신경이 적응하지 못하고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면서 완전히 괴사가 되는데, 신경이 괴사되면 오히려 통증이 없어지며 괴사되기 전에는 심한 통증을 발생시키고 이는 5년이나 참을 수 있는 통증이 아닙니다.때문에 현재의 통증은 5년 전 치료와 연속성이 없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그럼에도 해당 치아에 문제가 있어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신경치료 및 크라운 치료가 필요할 수 있고, 치아의 문제가 아닌 다른 것이 원인인 경우에는 그 원인에 따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단순히 질문만으로는 통증의 원인을 규명할 수 없으므로, 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이미 5년이 지난 상황이라면 기존 치과든 다른 치과든, 현재 증상은 5년 전의 치료의 연속이 아닌 새로운 치료로 들어가므로 비슷한 수준의 비용이 발생할 것을 보입니다.
Q. 초등학교 시절 앞니가 깨져서 브릿지를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크라운 및 브릿지를 비롯하여 보철치료의 수명이 언제까지라고 정해진 바는 없습니다. 물론 연구에 따라 보철의 평균적인 수명이 10년 정도로 보고된 것도 있기는 하지만, 개인의 식습관, 구강위생 관리 능력 등에 따라 수명이 짧아질 수도 있고, 10년 이상이 지나도 문제 없이 오래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특별히 증상이 없고 검사 결과에서도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기존의 보철을 계속 사용해도 되나, 주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해당 치아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검사를 체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또, 앞니의 경우 브릿지나 치아에 이상이 없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심미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도 환자가 원한다면 교체하는 것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