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치실을 사용하는게 좋다고 해서 썼는데 치아 틈이 더 벌어지는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치실을 사용한다고 하여 치아 사이 공간이 벌어지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치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부위의 잦은 잇몸질환으로 잇몸이 내려가는 잇몸퇴축이 발생하면서 점차 공간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다만 치실을 잘못된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 오히려 치아의 마모나 잇몸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우선 치실을 30-40cm 정도 끊어서 양손의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3-4cm 정도만 남도록 치실을 잡고, 치아 사이에 정확하게 끼워 넣습니다. 이 때 무리하게 아래로 힘을 주어 치실을 누르면 잇몸 손상의 원인이 되므로 살살 비벼 넣으면 됩니다.그 후 힘을 주지 않아도 어느 정도 치실이 잇몸안으로 들어가는 부위까지 치실을 넣고 양쪽 중 한 쪽 치아면쪽으로 치실을 밀착시켜 위로 쓸어올립니다. 이 과정을 수회 반복하며, 반대쪽 치아 면도 동일합니다.무리하게 힘을 주어 잇몸 깊이 치실을 넣는 경우 잇몸 손상을 야기할 수 있고, 치아 사이로 내려간 후에 치실을 위아래가 아닌 앞뒤로 청소하는 것은 치아 옆구리의 마모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Q. 이와이사이가. 많이 벌어져 빼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말씀하신 내용으로 보아, 잇몸이 내려가는 잇몸퇴축으로 인해 치아 사이를 메꾸고 있던 잇몸이 내려가면서 해당 공간이 빈 공간으로 노출되어 치아 사이 공간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잇몸염증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면서 점차 치아 주변의 뼈(치조골)의 흡수까지 일어나는 치주염으로 진행되게 되며 이로 인해 잇몸이 내려가는 잇몸퇴축이 일어나게 됩니다.잇몸이 내려간 경우 치아 사이의 공간이 뜨게 되고, 치아의 동요가 생기면서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잘 끼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이렇게 음식물이 끼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잇몸퇴축이 일어나지 않도록 평소에 구강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지만, 이미 발생한 경우에는 그 해결이 어렵습니다.철저한 구강위생 관리와 함께, 정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고 스케일링 및 잇몸치료를 받는 등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최선입니다.음식물이 끼는 경우에는 이쑤시개가 아닌 치실과 치간칫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이쑤시개는 단순히 음식물을 빼내는 용도로, 치아와 치아 사이 면을 청소할 수 없기 때문에 잇몸질환이나 치주질환이 더욱 진행될 수 있습니다.발치를 해야하는지 여부는 정확한 구강상태를 알 수 없어 판단이 어렵습니다.빠른 시일내 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